10명 중 7명… ‘자살충동 노출’ 10%만 지자체·관공서 도움받아
인천에 살고 있는 ‘은둔형 외톨이’ 10명 가운데 7명은 자살 충동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이 지방자치단체나 관공서로부터 도움을 받았다는 응답은 10명 중 1명에 그쳐 인천시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0일 인천시의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 연구’에 따르면 현재 은둔생활을 하는 시민 670명을 대상으로 ‘죽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느냐’고 물어보니 68.4%가 ‘있었다’고 답했다.
또 과거 은둔 생활을 한 762명을 대상으로 한 동일 질문에도 73.6%가 같은 대답을 했다. 특히 현재 은둔 생활을 하거나(458명) 과거 은둔생활자(561명) 가운데 약 25%는 자살 시도까지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따르면 은둔생활자들은 30% 이상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지만 절반 이상은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가 현재 은둔생활자 670명을 대상으로 정신질환 여부를 물어본 결과 37.5%인 251명이, 과거 은둔생활자 762명 중 38.6%인 294명이 정신질환 진단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현재 은둔생활자 251명 중 59.4%(149명), 과거 은둔생활자 295명 가운데 53.2%(157명)는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반면 ‘은둔생활을 하며 외부로부터 제공 받은 도움’ 질문에는 응답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없다’고 답했으며, ‘지자체나 관공서에 의한 도움’은 약 10%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 현재 은둔생활자 670명을 대상으로 ‘은둔생활 시 외부로부터 제공 받은 도움이 있느냐’고 물어본 결과 69.4%가 ‘없다’고 대답했으며, ‘지자체·관공서로부터 도움을 받았다’는 응답은 11.9%에 그쳤다. 또 과거 은둔생활자 762명에게도 같은 질문을 한 결과 ‘없다’는 답이 58.8%, ‘지자체·관공서 도움’은 8.4%로 조사됐다.
이처럼 은둔생활자들의 실상이 열악함에도 지자체 등의 도움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인천시 등 군·구가 조기 발굴을 통한 전문기관 연계 시스템을 더욱 발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번 실태조사 연구를 수행한 ㈜런런컨설팅 관계자는 “인천시는 은둔 생활자들을 위해 예방보다 조기발굴에 중점을 둬야 한다”며 “이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기 위해서는 최소 1~2년 단위의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은둔 생활자들이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구축이 시급하다”며 “이를 통해 정보와 상담예약 등 다양한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해 자택에서도 지원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자살에 대한 밀착사례관리와 경제적 생활 지원, 퀘렌시아 공간(안정 공간) 지원, 회복(취업)지원 프로그램 제공 등 전문 기관과의 연계 시스템을 더욱 발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