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항공 등 6개 분야서 85개 사업 종합대책 추진
인천시는 올해 대기질 개선을 목표로 6개 분야 85개 사업에 총 2천658억을 투자하는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6일 시에 따르면 올해 미세먼지 저감사업은 비산먼지, 항만·항공, 발전·사업, 농업·생활, 수송, 측정·분석 등 6개 분야로 이뤄진다. 시는 지난 2024년보다 9개 사업을 늘려 총 85개 사업으로 확대했으며, 분야별 미세먼지 줄이기 대책도 강화했다.
시는 지난해 총 사업비 2천643억원 중 2천501억원을 집행했다. 6개 분야 76개 사업 가운데 74개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했다. 시의 지난해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19㎍/㎥으로 지난 2015년 관측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좋음·보통’ 등급 일수는 343일로 전년 대비 19일 늘어났으며, ‘매우 나쁨’ 등급 일수는 단 1일도 없었다. 시는 다양한 미세먼지 줄이기 사업을 적극 추진한 결과 시민들이 대기질 개선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 올라섰다고 보고 있다.
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제6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도입해 배출 저감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또 고농도 미세먼지가 생기는 일을 줄여 시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추진 내용으로는 시민건강 보호, 핵심 배출원 감축·감리, 미세먼지 정보제공 및 홍보 등이 있다.
시는 환경부가 초미세먼지 고농도 위기경보를 발표할 경우 단기간 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해 비상저감조치를 한다. 이를 위해 건설공사장의 비산먼지 다량 배출 공정을 단축·조정하고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운행을 제한하며 대기배출 사업장 가동률을 하향 조정할 예정이다. 또 주요 간선도로 및 취약 도로에 대한 청소를 강화해 미세먼지를 억제할 방침이다.
시가 추진하는 미세먼지 저감사업 종합계획은 민선 8기 시민제안공약의 하나다. 정부 및 서울·경기 등 수도권과의 공동 대응을 기본으로 한다. 시는 지역의 미세먼지 배출원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사업을 추진하고, 미세먼지 정보제공을 강화해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목표다.
박성연 시 대기보전과장은 “도로먼지, 건설공사 비산먼지, 수송 분야 등 시민 일상생활과 밀접한 핵심 배출원에 대한 저감 정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체계적인 미세먼지 저감사업을 통해 맑고 쾌적한 대기환경을 만들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