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반도체·배터리·AI에 100조 지원... 경기도 기업 숨통 기대

50조 규모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

용인특례시 처인구 원삼면에 조성 중인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공사현장 전경. 경기일보 DB
용인특례시 처인구 원삼면에 조성 중인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공사현장 전경. 경기일보DB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에 따라 대외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정부가 반도체와 배터리, 인공지능(AI) 등 첨단전략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50조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신설한다. 특히 반도체 산업을 주도하는 경기도인 만큼 도내 관련 기업들도 일부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정부는 5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산업경쟁력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산업은행에 5년간 최대 50조원의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방안을 확정했다.

 

기금은 기존에 17조원 규모로 운영하고 있던 반도체 저리지원 프로그램과 배터리나 바이오 등에 지원하겠다고 밝혔던 자금 34조원을 통합해 조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기금을 기초로 산업은행, 시중은행과 협력하면 총 100조원 이상을 집중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원 대상 산업과 기업도 확대했다. 첨단전략산업과 국가전략기술 보유 생태계 전반을 구성하는 대기업, 중견·중소기업은 지원이 가능하다. 대상 사업은 반도체와 배터리(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바이오, 방산, 로봇, 백신, 수소, 미래차, AI 등이다.

 

정부는 반도체뿐만 아니라 다른 첨단산업에도 설비투자나 연구·개발(R&D) 등 자금을 최저 국고채 금리 수준으로 초저리 대출해 줄 뿐 아니라, 은행과 공동대출을 통해 지원규모도 확대할 계획이다.

 

펀드를 통해 간접투자를 하거나 지원기업과 합작법인(JV)이나 특수목적법인(SPC)을 만들어 팹(Fab·반도체 생산공장)이나 군함 건조·유지보수(MRO) 등 대규모 공정설비를 신설하는 형태의 지분투자 등의 방식으로 적극적인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달 산업은행법 개정안과 정부보증 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하고, 법 통과 시 조속히 지원을 개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내 반도체 관련 기업들도 자금 확보에 도움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도는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 부가가치의 83%, 매출액의 77%(2022년 기준)를 책임지는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심장인 만큼, 반도체 산업에서 기업들의 성장이 중요한 시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정부의 이번 발표로 도내 관련 기업들의 자금 확보에 일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여기에 더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의 진척을 위한 용수, 전력 등에 대한 정부의 지원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