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도지사’를 표방하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기후산업 400조원 투자, 석탄발전소 전면 폐지 등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에 앞장서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김 지사는 26일 여주 위성센터에서 ‘기후경제 대전환 3대 전략’을 담은 기후경제 비전을 선포했다.
이날 김 지사는 3대 전략의 하나로 기후산업에 최소 400조원 이상을 투자하자고 제안했다. ▲국민 클라우드펀딩 방식의 기후펀드 ▲기후채권 발행과 공공금융기관 출자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용 기후보증 ▲신재생에너지 전력망 구축을 위한 민자유치 등에 100조원씩 조성한다는 내용이다.
재생에너지 생산, 기후테크 기술개발, 전문인력 양성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철강,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력 산업의 공정 전반을 저탄소 중심으로 전환하자는 것이 핵심이다.
2040년까지 석탄발전소를 전면 폐지하자고도 했다. 단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을 늘려서 전력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히 준비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 수소연료전지 등 혁신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기후경제부’ 신설로 강력한 콘트롤타워를 구축해 통합적인 기후 대응과 산업 전환을 이루자고 했다. 또 기후투자공사를 설립해 지속 가능한 성장에 투자하고, 기후복지법을 제정해 기후격차를 해소하자는 정책을 내놨다.
김 지사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 OECD 최하위, 기후위기대응 수준도 전 세계 최하위 등 대한민국은 ‘기후 내란’ 상태”라며 “탄소국경조정세, RE100 등은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이제는 기후경제로 대한민국 경제를 대전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