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가 지난해 위험에 처한 야생동물 3천552마리를 구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2023년 구조 3천34건 대비 17%(518건) 증가한 것으로 2024년 당초 계획됐던 2천200마리 대비 161.5%p 초과한 것으로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전국 최다 구조 건수를 기록했다.
구조된 동물은 조류가 2천692마리(75.8%)로 가장 많았고 포유류 847마리(23.8%), 파충류 13마리(0.4%) 순으로 집계됐다. 이 중 황조롱이, 하늘다람쥐 등 천연기념물 15종 470마리와 매·수달 등 멸종위기종 17종 137마리가 포함됐다.
야생동물이 구조된 주요 원인은 조류의 경우 어미를 잃은 미아(50%)와 전선·건물과의 충돌(19%)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포유류는 차량 충돌(25%)과 기생충 감염(23%)이 많았다. 파충류의 경우 인가 침입(69%)으로 안전에 대한 조치 차원에서의 구조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구조된 동물 중 1천301마리(36.6%)는 치료 및 야생 적응 훈련을 거쳐 자연으로 복귀했으며, 980마리(27.6%)는 폐사, 498마리(14.0%)는 안락사됐다. 치료가 불가능한 상태로 센터에 도착한 동물(폐사체 등) 668마리를 제외한 실질 자연복귀율은 45.1%로 분석됐다.
센터 관계자는 “야생동물을 발견했을 때, 새끼가 어미와 잠시 떨어져 있는 상황일 수도 있으며, 동물에게 위험한 상황이라면 사람에게도 위험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며 “즉각적으로 개입하기보다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 연락해 상황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