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 향년 97세로 별세…국내 생존자 7명 뿐

여성인권운동가 향년 97세
18일 발인… 생존자 7명 뿐

image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 할머니가 지난 16일 향년 97세 일기로 별세했다. 17일 인천 연수구 인천적십자병원 장례식장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 할머니 빈소가 마련돼 있다. 조병석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자, 여성인권운동가로 활동해 온 길원옥 할머니가 향년 97세로 별세했다.

 

17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지난 16일 오후 6시께 길 할머니는 인천 연수구 옥련동 자택에서 사망했다. 1927년 9월10일 평안북도 희천에서 태어난 길 할머니는 1940년 공장에 취직시켜 준다는 말에 속아 중국 하얼빈에 있는 일본군 위안소에서 고초를 겪은 위안부 피해자다.

 

길 할머니는 생전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해 평생을 헌신해왔다. 당시 겪은 끔찍한 경험을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한 채 살다가 1998년 용기를 내 위안부 피해자로 신고한 뒤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길 할머니는 매주 수요일 서울의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 ‘평화로’에서 열린 ‘수요시위’에 빠짐없이 참석해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에 대한 진상 규명은 물론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 등을 요구했다. 또 유엔(UN) 인권이사회와 국제노동기구(ILO) 총회 등에 참석해 피해 사실을 증언하는 등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를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해 앞장서왔다.

 

이 밖에도 길 할머니는 호주, 캐나다, 미국,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독일 등 세계 각지를 돌며 전시 성폭력 피해자의 인권 회복을 위해 애썼다.

 

길 할머니는 당뇨, 연하장애, 호흡곤란 등의 건강악화로 오랜 기간 투병 생활을 하면서도 일본 정부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배상을 끊임없이 요구했다. 길 할머니는 생전 “내가 일본 정부에 요구하는 것은 역사의 진실을 솔직히 인정하는 것이고, 그 진실을 기반으로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을 하라는 것 뿐”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또 이 과정에서 “돈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며 “배가 고파 밥을 달라는 것이 아니고, 옷을 입혀 달라는 것도 아니다”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길 할머니의 별세로 인천에는 더 이상 위안부 피해자 생존자가 없다.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는 총 240명이며, 현재까지 국내에 생존해 있는 피해자는 7명 뿐이다.

 

image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 할머니(97세)가 지난 16일 인천 연수구 옥련동 자택에서 별세했다. 17일 길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된 연수구 인천적십자병원에서 조문객들이 인사를 올리고 있다. 조병석기자

 

이날 길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된 인천적십자병원 장례식장에는 할머니의 마지막 가는 길을 배웅하기 위한 조문객들과 화환들로 가득했다. 또 다른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도 근조 화환을 보내 오랜 지기의 넋을 기렸다.

 

이 밖에도 문재인 전 대통령,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등은 근조 화환과 조기를 보내며 추모했다.

 

유정복 인천시장도 길 할머니의 빈소를 찾아 깊은 애도의 뜻을 전했다. 유 시장은 “길원옥 할머니의 명복을 빌며, 고통 없는 세상에서 평안히 잠드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을 위해 인천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길 할머니는 오는 18일 발인(인천가족공원)을 통해 영원한 안식에 든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