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광주·성남·하남의원들 경기도 등 무책임한 대응 규탄 “실태조사 등 근본 대책 촉구”
경기도의회 광주·성남·하남지역 의원들이 지난해 11월 기록적인 폭설로 피해를 본 남한산성의 피해 복구를 촉구했다.
광주·성남·하남을 지역구로 둔 김성수(하남2)·방성환(성남5)·이제영(성남8)·유영두(광주1)이서영(비례)·안계일(성남7)·윤태길(하남1)·오창준(광주3) 의원은 12일 오후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와 경기도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의 무책임한 대응을 규탄하며 즉각적인 피해 복구와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고 입을 열었다.
이들은 “지난해 폭설로 남한산성의 소나무 숲이 심각한 피해를 봤음에도 도와 센터는 실질적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사태를 방치하고 있다”며 “탐방로 주변 피해목 정리 작업 중 사망사고가 나면서 전면 작업중지 명령이 내려졌고, 이후 어떠한 추가적인 복구 대책도 없이 현장이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남한산성은 단순한 산림이 아닌 도가 직접 관리하는 세계문화유산이자 수도권의 대표적인 역사·문화·관광 자산”이라며 “광주·성남·하남지역 도의원들이 현장을 방문한 결과 관리가 이뤄진 소나무는 멀쩡했지만 방치된 소나무는 심각한 피해를 본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하며 폭설에 앞서서도 제대로 된 관리가 이뤄지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의원들은 “도와 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가 제 역할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명백한 인재”라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의원들은 ▲정밀 실태조사 즉각 실시 ▲작업중지 명령 해제를 위한 실질적 대책 마련 ▲재난관리기금을 확대하고 신속한 복구조치 시행 등을 요구하며 경기도에 남한산성 관리 책임을 회피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특히 어떠한 조치가 이뤄져야 하는지 묻는 경기일보의 질문에 경기도가 남한산성 피해가 생긴 이후 처음부터 제대로된 실태조사를 통한 복구 의지를 갖지 않았다고 상황을 전했다.
“재난관리기금으로 5천만원을 배정해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가지 제거 등만 했는데, 현장 가봤지만 실제 피해 조사를 제대로 해야 하는 데 정확히 분석을 하지 않고 대충 육안으로만 조사를 했다”며 “정확한 조사와 앞으로 어떻게 할 지에 대해 나와있어야 하는데 처음부터 단편적 방법으로만 복구가 이뤄진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중대재해로 인해 공사중지명령을 받아도 이후 안전조치가 취해지면 해제가 되는데, 그런 상황을 미리 준비하지 않고 있다”며 “도 차원에서 복구 의지가 없기 때문에 이 자리에 나서게 된 것”이라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