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독사 방지 위해 AI기반 서비스 확대 추진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매일 1인 가구의 안부를 자동 확인, 활동 이상 징후를 감지하면 곧바로 출동하는 고독사 예방 사업의 정확도와 대응 속도를 높인다.

 

도는 11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5년 AI(인공지능) 기반 고독사 예방 및 대응 사업’에 대한 서비스 강화 방안을 소개, 사업 추진 계획을 논의했다.

 

지난해 도입된 이 사업은 주 1회 대상자에게 전화를 걸어 안부를 확인하고 전력·통신·상수도 사용량 데이터를 분석해 고독사 위험을 예측·대응했다.

 

올해부터는 예측 방식을 고도화해 스마트폰 활동 데이터와 IoT 센서를 활용한 생활 패턴 분석을 더욱 정밀하게 진행한다. 스마트폰 활동 데이터에서 걸음 수가 감소하는 등의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즉시 연락을 취하며, 일부 고위험군 가구에는 IoT 기기를 활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도입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주중에 한정되던 모니터링을 365일 상시 운영하며 건강 마이데이터 추가, 경기도-시·군 고독사 예방 사업 데이터 통합 등을 진행해 고독사 방지에 힘쓸 계획이다.

 

김기병 도 AI국장은 “향후 시·군별 고독사 예방 사업의 데이터를 통합하는 AI 돌봄 통합 플랫폼으로써의 역할을 더욱 강화해 더 많은 도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