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부천시의 ‘204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안)’을 최종 승인했다. 이에 따라 부천시는 노후신도시 정비 및 원도심 재생 활성화를 통해 기반 시설을 확충, 도시경쟁력이 강화될 전망이다.
4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번 계획은 부천시의 미래와 장기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최상위 공간계획으로 지속 가능한 국토 관리를 위한 정책 및 전략을 담고 있다.
2040년 부천시의 목표 계획인구는 통계청 인구추계치와 3기 신도시, 역세권개발 등 각종 개발사업으로 유입될 인구를 고려해 89만명(현재 약 80만 명)으로 설정했다.
부천시 전체 행정구역(53.45㎢) 가운데 장래 도시발전에 대비해 개발 가용지 0.498㎢를 시가화예정용지로 계획하고 시가화된 기존 개발지 35.119㎢는 시가화용지, 나머지 17.833㎢는 보전용지로 토지이용계획을 확정했다.
부천시 공간구조는 신규 개발사업, GTX·지하철 신규노선 등에 따른 거점 변화 등을 고려해 1도심 3부도심 3지역중심으로 계획했다.
생활권은 대장·춘의, 중·상동, 부천·소사 총 3개 권역으로 계획했다. ▲대장·춘의권역은 노후 공업지역 정비 및 역세권 활성화 ▲중·상동권역은 노후 신도시 정비 및 문화·행정·업무 기능 강화 ▲부천·소사권역은 도시재생활성화 및 생활기반시설(SOC) 공급을 통한 균형발전 등 발전전략을 제시했다.
교통계획은 단절·병목 없는 최적의 내부 도로망 체계 구축, 광역급행철도(GTX-B‧D) 등 철도망 계획, 대중교통 간 연계를 위한 스마트 환승플랫폼 시스템 구축 등을 반영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