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 창사 이래 매출 첫 10조 돌파…AI·전장 시장 공략 박차

image
삼성전기 수원사업장. 삼성전기 제공

 

삼성전기가 2024년 4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하며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모두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삼성전기의 지난해 연간 매출은 창사 이래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하며 10조2천941억원, 영업이익은 7천35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6%와 11%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연결기준으로 2조4천923억원, 영업이익은 1천1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8%, 영업이익은 1% 증가했다. 삼성전기는 전장·서버 등 고부가제품 수요 증가와 전장용 MLCC 및 서버용 FCBGA 공급 확대가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컴포넌트 부문의 4분기 매출은 1조8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전장용 MLCC의 수요가 증가하며 EV(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 ADAS(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기능 탑재 확대가 매출 성장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다만, 연말 고객사 재고 조정 등의 계절적 요인으로 IT 및 산업용 제품 공급은 감소해 전 분기 대비 매출은 줄었다.

 

올해는 AI 서버 시장의 확장과 자율주행차 기술의 대중화가 전망되 삼성전기는 AI서버·전장용 MLCC의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삼성전기는 AI서버용 고온·고용량 및 EV파워트레인용 고온·고압품 라인업을 확대해 시장 수요에 신속히 대응할 계획이다.

 

패키지솔루션 부문의 4분기 매출은 5천49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다. 글로벌 거래선향 서버·네트워크용 FCBGA 공급 확대가 매출 증가를 견인했으나, 연말 스마트폰 재고 조정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은 감소했다.

 

삼성전기는 올도 IT 세트 수요 개선과 AI/서버 패키지 기판의 고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며, ARM 프로세서용 및 서버/네트워크용 고부가 패키지 기판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AI 가속기용 FCBGA의 본격 양산과 거래선 다변화도 추진 중이다.

 

광학솔루션 부문의 4분기 매출은 8천61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했다. 이는 주요 거래선의 신모델 출시 전 연말 재고 조정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스마트폰의 고성능 카메라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삼성전기는 고화질 슬림·줌 기능 강화 등 IT용 고사양 카메라모듈과 전천후 카메라 및 인 캐빈(실내용) 카메라 등 전장용 카메라모듈 공급을 확대해 사업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삼성전기는 2025년 AI 서버의 고성장세와 전장화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AI 서버용 MLCC와 패키지기판, 전장용 MLCC 및 카메라모듈 등 고부가 제품의 라인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객사를 다변화하고 공급을 확대하며 전장·AI 서버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