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초교 참여 ‘바닥’… 가라앉는 ‘생존수영 지원’

2022년 이용률 2% 안팎 유명무실, 단순 서류 양식 지급에 그쳐 불만
수영장·버스 등 실질적 도움 필요... 시교육청 “지원 강화 방안 모색”

초등학교 교사들이 생존 수영 교육을 받고 있다. 경기일보 DB
초등학교 교사들이 생존 수영 교육을 받고 있다. 경기일보DB

 

인천시교육청의 ‘생존수영 수업 지원 사업’이 대부분 학교들의 외면을 받으며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다.

 

22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초등학생 대상의 생존수영 수업을 전국 교육청에 권고했다.

 

이에 인천시교육청은 1~2학년은 생존수영 수업 권장을, 3~4학년은 52개 지정 수영장에서 9시간 실기 수업을 의무화했다. 5~6학년은 이론 수업만 듣도록 했다.

 

그러나 수영 수업에 필요한 서류 등을 지원하는 수준에 그쳐 아무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각 학교들은 개별 수영장을 갖추지 못해 실습 수업은 외부 수영장을 이용한다. 학생들이 수영 수업을 위해 이동하려면 버스가 필요하지만 계약을 각 학교에서 직접 해야 한다.

 

시교육청은 수영장과의 계약이나 버스 대절, 보험 가입 등에 필요한 서류 양식만 제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인천 267곳 초등학교 중 대부분이 시교육청의 생존 수영 지원 사업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실제 지난 2022년에는 4개교(1.5%), 2023년 6개교(2.1%), 2024년 6개교(2.1%)만 시교육청의 서류 양식 지원을 이용했다.

 

일선 교사들은 단순한 서류 양식 지원은 의미가 없다고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이미 학교와 수영장, 버스회사가 계약을 이어왔기 때문에 관련 서류는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 한 초등학교 4학년 교사 A씨(45)는 “지원 사업이 있는지도 몰랐는데, 내용을 들어보니 큰 의미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생존수영 때 가장 큰 스트레스는 수영장과 버스의 일정을 맞추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보다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지원 서비스를 해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일선 학교의 지원 사업 이용이 별로 없다는 점은 알고 있지만 계약 주체가 학교장이기 때문에 시교육청이 대행 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면서도 “어떤 방안이 학교 현장에 도움이 될지를 검토해 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