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지자체 소속 팀 창단, 장애인수영 단일종목 ‘최초’
“장애인수영 발전 기반이 용인시에 만들어졌으니 좋은 선례가 돼야 한다는 책임감이 큽니다.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용인특례시 장애인수영팀 선수들이 창단을 맞아 내비친 각오다.
시는 지난 20일 우수한 지역 선수 발굴,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선수 지원 등을 위해 직장운동경기부 소속 장애인수영팀을 창단했다.
초대 감독으로는 2016년 리우 패럴림픽 국가대표팀 코치, 2021년 도쿄 패럴림픽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주길호 감독이 영입됐다.
선수단에는 지난해 파리 패럴림픽 4위·전국체전 3관왕 조기성 선수(30), 2023년 전국체전 3관왕 권용화 선수(26), 2021년 브라질 데플림픽 5위·지난해 전국체전 평영 2관왕 채예지 선수(24), 2021년 전국체전 배영 1위 오석준 선수(24) 등 4명이 창단 멤버로 합류했다.
지난해부터 용인시팀이 만들어진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체육인들 사이에서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화제를 모았다.
장애인수영 단일 종목만 놓고 보면 경기도에서 도장애인체육회 소속 팀은 있지만 지자체 소속 팀을 창단한 사례는 용인이 도내 최초여서다.
이번 창단이 남다른 이유는 또 있다. 통상 두 명 규모로 팀을 꾸리지만 용인시의 경우 네 명이라는 대규모 체제에 비장애인 실업팀과 동일한 예산을 배정받아서다.
이에 용인이 장애인수영의 발전을 이끄는 메카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물론 산적한 과제도 있다. 선수 양성뿐 아니라 그에 걸맞은 인프라 조성도 함께 뒤따라야 해서다. 이에 시가 추진 중인 10개의 50m 레인을 갖춘 수영장과 다이빙풀을 갖춘 반다비체육센터 건립 사업 역시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올해 선수들은 오는 4월 가평에서 열리는 경기도장애인체육대회를 시작으로 주요 국내외 대회에 나서 갈고 닦은 기량을 선보인다. 9월에는 조기성 선수가 싱가포르 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 출전한다. 이어 10월 말 부산 전국장애인체육대회가 예정돼 있다. 채예지 선수도 11월 도쿄 하계 데플림픽에 출전해 메달을 노린다.
주장 권용화 선수는 “사실 몸 상태가 좋지 않은 데다 노장으로 분류되다 보니 지난해까지 고민을 많이 했다. 그럼에도 제가 태어나고 자란 지역에서 실업팀을 만든다는 게 큰 의미가 있어 마지막 불꽃을 태우고자 한다”고 밝혔다.
조기성 선수는 “지난해 파리 대회를 끝으로 선수 생활을 그만두려고 했는데 감독님이 좋은 환경과 여건이 준비됐으니 같이 부활을 위해 노력해 보자고 말씀하셔서 의지를 다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채예지 선수는 “제게 큰 힘이 되는 사람들과 함께 운동에 매진할 수 있을 것 같다. 제 목표인 데플림픽 메달을 꼭 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내비쳤다.
오석준 선수는 “그간 국내에서 장애인 체육이 스포츠가 아니라 그냥 복지의 차원에만 머물렀다면 이번에 용인시 소속 팀이 창단되면서 온전한 스포츠로 처음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는 것 같아 가슴이 벅차다”고 말했다.
주길호 감독은 “선수들이 자기 실력에 걸맞은 대우를 받을 수 있게 됐다는 점이 가장 고무적”이라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면서 선수를 양성하고 그 선수들로 장애인 수영팀을 만들고 싶었는데 드디어 꿈을 이뤘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