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장들의 임기가 대부분 끝나면서 차기 인선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도정에 대한 이해도나 전문성을 고려하지 않고 정치적 외연 확장을 위한 인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도정의 실질적 수행자인 공공기관이 정상 운영될 지에 대한 우려가 나오기 때문이다.
19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3월까지 새 수장을 맞이해야 하는 도 산하 공공기관은 이사장 연임이 정해진 경기신용보증재단을 제외하면 총 11곳이다.
이 중 경기복지재단 이사장에는 의사 출신 A 전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진다. 친문으로 분류되는 서울 출생의 A 전 의원은 의사 출신이지만, 도의 복지정책 전반을 수행하고 발굴해야 하는 재단 이사장과 같은 기관장을 역임한 적이 없다. 경기아트센터 사장에 낙점된 것으로 알려진 친문의 B 전 의원 역시 부산 출신이다.
앞서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로 거론된 유정주 전 국회의원의 경우 서울에서 태어나 부천에서 사업체를 운영했고,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실력을 인정받았지만 도의 문화 전반을 이끌 인물인지를 두고는 설왕설래 중이다. 여기에 오는 25일 임기가 끝나는 강성천 경제과학진흥원장을 경기연구원장으로, 김현곤 전 도 경제부지사를 경과원장으로 구상 중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오면서 회전문 인사라는 비판까지 나온다.
김 지사의 인사를 두고 뒷말이 무성한 이유는 거론되는 이들의 전문성이나 도정에 대한 이해도가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해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물론 윤준호 정무수석, 김민철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장, 김경협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이사장 등 국회의원 출신 인사를 대거 영입한 김 지사가 사실상 도정의 안정보다는 외연 확장 속 정치적 계산을 우선시 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다.
이종훈 시사평론가는 “조기 대선 이야기가 나오는 시점에서 전문성이나 경력과 무관하게 공공기관장에 정치적인 인사를 선임하는 건 기관장을 정치적 거래수단으로 악용할 우려가 있다”며 “이러한 인사는 공공기관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원인이며 경영상의 문제가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공모가 끝나지 않은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답변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