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사회혁신공간’ 조성 날샌다... 2년여 집행률 고작 3% 불과

2023년부터 올해까지 92억 들여
도청 옛청사 2별관 리모델링 계획
건설사업관리자 선정 과정 차질
오는 6월까지 준공 사실상 불가능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3년간 총 92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사회혁신공간을 조성, 오는 6월까지 준공을 목표로 했지만 집행률은 고작 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설사업관리자 선정 과정에서 차질을 겪은 것이 원인으로,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빠른 집행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16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는 지난 2023년부터 올해까지 총 92억2천500만원을 사용해 경기도청 옛청사 제2별관을 리모델링, 사회혁신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을 세웠다. 오는 6월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이날까지 집행률은 약 3%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사회혁신공간은 도민에게 사회혁신을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소통 공간과 다양한 사회적경제조직이 활동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공간은 1단계와 2단계로 나뉜다. 경기도에서 주관하는 1단계는 옛청사 제2별관 1~6층에 노후설비와 안전 보강, 입주기업 사무공간을 조성한다. 1단계가 끝나면 경기문화재단이 2단계를 진행, 지하 1층부터 지상 2층과 옥상에 사회혁신 체험(팝업스토어)과 문화예술 복합공간을 구현한다.

 

2단계는 오는 9월 중 완료하는 것이 목표지만 도에서 주관하는 1단계 사업이 차질을 빚는 만큼 2단계도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1단계 사업이 지연된 데에는 지난해 12월 건설사업관리자 선정에 차질을 빚은 것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초 도는 지난 2023년 사회혁신공간 기본계획을 수립, 지난해까지 건축기획과 실시설계 등을 진행했고, 같은 해 11월 입찰공고를 올려 관리자 선정에 나섰다. 이후 업체 2곳의 신청을 받았지만 요건이 도의 기준에 미달했고 선정에 실패하게 됐다. 따라서 도는 이달 관리자 입찰 공고를 올려 다시 선정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도는 이번 입찰에서도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관리자 선정 과정에서 또다시 부적격자가 나올 수 있고, 관리자를 선정하더라도 이후 시공사를 또 한 번 선정해야 하므로 같은 사례가 또 나올 수 있다는 것이 이유다. 결국 관리자와 시공사의 선정 과정에서 실패가 반복될 경우 준공 일정은 무기한 밀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이번에 선정에 성공하면 8월 중 준공이 예상되지만 확신할 수는 없다”며 “빠른 시간 내 업체를 선정해 착공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