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北병사, ‘김정은 장군’ 외치며 자폭 시도하다 사살”
국가정보원은 13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돼 러시아를 지원 중인 북한군의 사상자 수가 3천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국회 정보위원회의 비공개 간담회에서 국정원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교전 참여 지역이 쿠르스크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사망자 300여명, 부상자 2천700여명 등 총 사상자가 3천여명을 넘어섰다"고 보고했다고 여야 정보위 간사인 국민의힘 이성권·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최근 입수한 북한군 전투 영상을 분석한 결과 "무의미한 원거리 드론 조준 사격과 후방 화력 지원 없는 돌격 전술 등 현대전에 대한 이해 부족, 그리고 러시아 측의 북한군 활용 방식이 대규모 사상자 발생의 주된 원인"이라고 말했다.
전사한 북한군의 소지품에서는 북한 당국이 생포되기 전에 자폭 자결을 강요하는 내용과 함께, 병사들이 노동당 입당과 사면을 기대하고 있다는 내용의 메모도 발견됐다.
최근에는 우크라이나군에게 붙잡힐 위기에 처한 북한군 병사가 '김정은 장군'을 외치며 수류탄으로 자폭을 시도하다 사살된 사례도 확인됐다.
한편 우크라이나에 의해 생포된 북한군 포로 2명은 정찰총국 소속으로, "파병에 대한 급여 약속 없이 '영웅으로 우대한다'는 공지만 받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이 한국행을 희망한다는 입장 표명은 없었으나, 국정원은 "북한군도 헌법적 가치상 대한민국 국민에 포함되므로 귀순 의사를 밝힐 경우 우크라이나와 적극 협의할 방침"이라고 이성권 의원이 전했다.
북한 내부에서는 러시아 파병 소식이 확산되면서 파병군 가족들 사이에서는 '노예병, 대포밥'이라는 자조 섞인 우려가 나오는 반면, 직접 이해관계가 없는 이들은 러시아의 지원과 민생 개선을 기대하는 반응을 보인다고 국정원은 전했다.
북한당국은 파병군 가족에게 식량과 생필품 등의 물질적 보상을 제공한 정황도 포착됐다.
국정원은 향후 북한이 "대(對)러시아 추가 무기 지원 및 파병을 통해 군사·경제적 반대급부를 확보하는 데 주력하는 한편, 상반기 김정은의 러시아 방문도 저울질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정원은 북한의 최근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극초음속 활공체의 비행 성능 보완 후 재검증 시도가 목적이다"며 "트럼프 진영의 관심을 끌기 위한 최강경 대미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했다.
국정원은 2기 트럼프 행정부 출범 시 북한과의 '스몰딜' 가능성도 제기했다.
국정원은 "트럼프가 김정은과의 정상회담을 1기 정부의 주요 성과로 인식하고 있어 대화 재개 가능성이 있으며, 단기간 내 완전한 비핵화가 어렵다고 판단할 경우 핵 동결이나 군축 등의 스몰딜이 이뤄질 수 있다"고 관측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