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21개 시·군 306대 운영, 지난해 비해 5곳 80대 증가 LH·GH 2027년 지원 종료... 道, 예산 확보 등 대책 부심
대중교통 소외 지역 주민들을 위해 민선 8기 경기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한 ‘똑버스’ 사업이 매년 확대되면서 재정 부담도 커지고 있다. 특히 사업비 일부를 부담해 온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오는 2027년 지원을 종료하면 도의 재정 부담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어서 대책이 요구된다.
12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똑버스는 스마트폰 호출을 기반으로 이용자 맞춤형 배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도는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은 지역 주민들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사업을 도입했는데 매년 늘어나는 사업 규모에 비례해 사업비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똑버스 총사업비는 지난 2023년 115억원에서 지난해 322억원, 올해는 522억원으로 2년 만에 4배 이상 증가했다. 사업비가 매년 약 200억원씩 늘어나면서 도와 각 시·군의 재정적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올해는 도내 21개 시·군에서 306대의 똑버스가 운영될 예정으로, 지난해 16개 시·군에서 226대를 운행했던 것과 비교해 80대가 늘었다. 도는 향후 더 많은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지만, 세수부족으로 도 재정이 어려운 상황에 이러한 확장이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똑버스 총사업비의 10.6%는 LH와 GH로부터 지원받고 있다. 이 지원금은 광역교통 개선 부담금에서 충당되며 사업의 중요한 재정적 기반이 되고 있다. 하지만 도와 LH·GH가 애초 2026년까지만 지원하기로 해 2027년부터는 중단되는 만큼 도의 재정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김용성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광명4)은 “똑버스는 농어촌과 신도시 주민들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핵심 사업이지만, 재정 부담 문제는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도와 시·군의 재정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예산을 확보해 지속 가능한 운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현재 예산 확보 방안에 대해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LH와 GH의 지원 기간 연장 협의 등 다각적인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안정적인 사업 운영을 위해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