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철위, "다양한 자료 조사·분석해 원인 규명 최선 다할 것"
지난해 12월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사고기의 블랙박스에 충돌 전 4분간의 기록이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는 11일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에서 사고기 비행기록장치(FDR)와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를 분석한 결과 항공기가 로컬라이저에 충돌하기 약 4분 전부터 두 장치 모두에 자료 저장이 중단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항철위는 사고 조사 과정에서 자료가 저장되지 않은 원인을 확인할 계획이다.
사고기는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9시 3분쯤 무한공항 활주로 끝단의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콘크리트 둔덕과 충돌했다.
사고 당일 오전 8시 57분 무안공항 관제사는 사고기에 조류와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을 경고했고, 기장은 8시 59분에 메이데이(조난 신호)를 외친 후 복행을 통보했다.
항철위 설명에 따르면 FDR와 CVR는 충돌 4분 전인 오전 8시 59분부터의 자료가 기록되지 않았는데, 기장이 메이데이를 선언한 뒤 비행기 고도를 높였다가 착륙을 시도할 때까지의 상황을 분석하기 어려워진 것이다.
항철위는 "CVR와 FDR 자료는 사고 조사에 중요하지만 조사는 다양한 자료에 대한 조사와 분석 등을 통해 이뤄진다"면서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