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사회서비스원이 고독사(본보 2025년 1월9일자 1면) 예방을 위해 민관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인천시가 의뢰한 것으로 연구 기간은 지난해 3~12월이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노인맞돌) 이용자 중 혼자 사망한 사례 21건을 분석했다. 담당 생활지원사 및 사회복지사를 심층 면접하고, 고독사 관련 공무원과 전문가 의견을 반영했다.
서윤정 인천사서원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고독사는 노인뿐만 아니라 청·중장년 등 다양한 연령층에서도 일어나지만, 연구 접근의 한계로 노인 사례 중심으로 살펴봤다”고 말했다.
인천사서원 연구에 따르면 21건 중 14건(66.7%)이 자연사였으며, 자살은 6건(28.6%)으로 나타났다. 사례 다수는 경제적 어려움, 주거 불안, 우울증 등 복합적 요인이었다.
인천사서원은 고독사 예방을 위한 4가지 핵심 과제를 제시했다. 첫째, 노인맞춤돌봄 광역지원기관과 치매안심센터 등 전문 기관 간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다. 둘째, 군·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안에 고독사 예방 분과를 신설해 지역 차원의 대응 체계를 마련하는 방안이다. 셋째, 고립 상태를 완화할 수 있는 지역사회 체계를 개발해 지속 가능한 관계망을 형성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거 환경 개선과 위험군 발굴 및 지원 강화를 통해 사각지대를 줄이는 것이다.
이와 함께 고독사 위험군 전수 조사,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위한 공유 부엌 및 지역 쿠폰 사업, 안부 확인 서비스 등 구체적인 방안도 논의했다.
서 연구위원은 “고독사 예방은 민·관의 연결과 협력 체계가 필수적”이라며 “지역사회의 관계망 형성을 통해 고립한 이들과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