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다섯 번째… 인구 100만 돌파 현판 제막식·기념 식수 행사 개최
화성시가 1일 전국 다섯 번째 특례시로 공식 출범했다.
시는 이날 화성특례시 출범을 기념하는 현판 제막식과 기념식수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정명근 시장과 배정수 시의회 의장 등이 참석했으며, 지난달 29일 무안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 애도를 위해 차분한 분위기 속에 진행됐다.
시는 ‘특별한 시민, 빛나는 도시, 화성특례시’를 슬로건으로 설정하고 특례시에 걸맞은 행정 서비스 제공을 약속했다.
앞서 시는 지난 2023년 12월 인구 100만2천757명(내국인 94만4천342명, 외국인 5만8천415명)을 기록하며 특례시 승격기준을 갖췄다.
현행 지방자치법상 주민등록인구와 국내 거소신고 외국국적 동포, 지방자치단체에 등록된 외국인 등을 합한 인구 수가 2년간 100만명을 유지하면 특례시 자격을 부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시는 지난 한해 꾸준한 인구 성장을 기록, 지난해 11월 말 인구 103만1천710명(내국인 96만6831, 외국인 6만4879명) 등을 기록하며 특례시로 도약했다.
시는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도시, 시민의 삶을 꼼꼼히 챙기는 도시를 핵심 목표로 설정하고 ▲민생경제 회복 ▲첨단산업 육성 ▲문화·여가 인프라 확충 ▲균형 있는 도시 발전 등을 실천할 방침이다.
우선 시는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기본소득과 주거 등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본사회 실현, 전국 최고 수준인 5천90억 규모 지역화폐 발행을 통한 골목경제 활성화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반도체, 모빌리티, 바이오 등 미래 핵심 산업 육성을 통한 아시아 최대 구모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 AI 기반 행정 서비스 도입 등 AI 혁신 중심 도시로 나아간다.
문화·여가 인프라 확충을 위해 서해마루 유스호스텔을 비롯해 동탄중앙도서관, 병점다목적체육관 등 공공시설을 확충하고 화성예술의전당 운영을 통한 수준 높은 문화예술 경험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권역별 특색을 살린 맞춤형 개발 전략을 수립해 권역별 행정 서비스 제공을 실천할 계획이다.
정 시장은 “지금까지 화성시의 눈부신 발전을 만들어주신 시민과 함께라면 화성특례시의 재도약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며 “시민 한 분 한 분의 염원을 담아 화성특례시를 빛나는 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