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교통량 급증 대비 주차장 및 버스노선 신설해야
인천 제3연륙교 및 영종~신도평화도로(신도대교) 등이 내년 개통을 앞둔 가운데, 인천시와 중구·옹진군 등의 개통 이후 교통량 급증 등에 대비한 주차장 확보 및 버스노선 신설 등이 시급하다.
30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2025년 말 개통을 목표로 영종~청라를 잇는 길이 4.68㎞, 폭 30m(왕복 6차로)의 제3연륙교와 영종~신도 3.26㎞ 구간 신도대교 건설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제3연륙교가 들어서면 서울 등 수도권에서 인천국제공항은 물론 영종도를 찾는 관광객 등이 급증할 전망이다. 앞서 시가 통신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제3연륙교의 교통량은 2026년 1일 평균 약 2만533대~4만2천836대에 이른다.
또 신도대교는 현재 1일 평균 1천여대 규모인 신·시·모도의 교통량이 개통 직후 관광객이 몰리면서 8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시는 장기적으로 이 같은 교통량이 안정화하더라도 2045년 기준 1일 평균 5천900대의 차들이 운행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역 안팎에선 교통량 급증 등에 대비한 주차장 확보 및 버스노선 신설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앞서 시는 지난 8월부터 제3연륙교·신도대교 개통에 따른 교통개선 대책 마련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신·시·모도 등 주차장 확보는 물론 인근 버스 노선 조정 등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늘어나는 교통량을 사전에 대비하고, 열악한 교통 인프라를 개선할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시와 군은 2026년까지 신·시·모도 인근 약 618면의 주차장을 확보하려 했으나, 예산 부족 및 행정절차 지연 등의 문제로 현재까지 모도리 인근 주차장(103면)의 땅만 확보했을 뿐이다.
또 제3연륙교를 오가는 시내버스 신설 및 현재 영종대교를 지나는 버스 노선의 조정도 버스업체 등의 이견에 부딪히며 난항이 일 전망이다. 이에 시는 서구 청라~영종하늘도시~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까지 연결할 수 있도록 시내버스 경유 노선에 대한 분석 및 대체노선 발굴 등에 집중하고 있다.
김인수 시 교통국장은 “제3연륙교나 신도대교가 2025년 말에 개통한다는 전제를 두고, 각종 교통개선 대책을 준비 중”이라며 “교통 인프라 개선을 통해 시민들이 다리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