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기 블랙박스 일부 손상…해독 최소 한 달"

폭파된 기체에서 튕겨 나온 잔해들. 윤원규기자
폭파된 기체에서 튕겨 나온 잔해들. 윤원규기자

 

전남 무안군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의 원인 규명을 위한 핵심 단서인 블랙박스 해독 작업에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29일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에 따르면, 사고 여객기의 비행자료기록장치(FDR)가 외형 일부 손상된 채로 수거됐다.

 

항철위 관계자는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는 외형이 그대로 수거됐으나 FDR은 일부 분리된 상태"라며 "FDR 해독에 한 달 정도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두 장치가 온전할 경우 해독 작업은 일주일 내 가능하다. 그러나 이번 사고로 인한 FDR 훼손으로 전체 조사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초기 블랙박스 해독 결과가 향후 조사 방향성을 결정짓기 때문이다.

 

FDR 훼손이 심각할 경우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에 조사를 의뢰해야 하는데, 이 경우 해독에만 6개월 이상 걸릴 수 있다.

 

항철위 관계자는 "국내 분석이 어려우면 NTSB로 가져가야 하는데, 전 세계 사고 조사가 대기 중이어서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설명했다.

 

FDR과 CVR은 '항공기 블랙박스'로 불리며 사고 원인 규명에 결정적 단서를 제공한다. FDR은 비행 경로와 각종 장치 작동 상태를 기록하고, CVR은 조종실 내 대화와 경고음 등을 녹음한다.

 

이번 사고 여객기는 기체 대부분이 불에 타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손상됐으나, 블랙박스가 장착된 꼬리 부분은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발견됐다. FDR과 CVR은 고온과 강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게 설계돼 있어 생존율이 높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