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예정보다 석달 앞당겨... 삼성전자·LH 토지계약 협약 내년 신속 보상 2026년 착공... 2030년 팹 1호기 가동 목표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계획이 당초 목표보다 3개월 빠르게 승인됐다. 국토교통부와 용인특례시는 처인구 이동·남사읍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국토부 최종 승인이 26일 이뤄졌다고 밝혔다. 내년 1분기로 계획됐던 국가산단 승인이 3개월 가량 빨리 이뤄져 산단 조성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정부는 통상 4년 이상 소요되는 후보지 선정에서 산단 지정까지의 시간을 1년9개월로 줄인 데 이어 내년부터 신속한 보상을 통해 착공시기도 당초 2030년 6월에서 2026년 12월로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동시에 2030년 반도체 생산공장(팹·fab) 1호기 가동에 맞춰 도로, 용수, 전력 등 핵심 인프라를 확충하는 한편 국가산단과 배후주거지와 통합 개발해 산업중심 복합도시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맞춰 이날 오전 10시 용인 기흥구 농서동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진행된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승인 기념행사’에선 국토교통부의 국가산단 승인과 함께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삼성전자의 토지매매계약 내용이 담긴 실시협약이 체결됐다. 행사에는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이한준 LH 사장, 김용관 삼성전자 사장 등이 참석했다.
국토부는 행사에서 국가산단 특화 조성 계획을 발표했고, LH는 국가산업단지 승인 후 부지 조성에 대한 세부계획을 설명했다. 국토부는 국가산단 부지에 자리잡은 기업들이 옮겨갈 공간인 이주 산단에 대한 조성 계획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시는 국가산단 구역계를 확장하기 위해 처인구 남사읍 완장리·창리 일원의 약 50만㎡(약 15만평)를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으로 추가하고, 변경된 제한지역에 대한 주민공람을 진행할 계획이다.
기업들의 이주 산단 확보, 국가산단 편입으로 국가산업단지 규모는 약 778만㎡로 확대된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은 728만㎡ 부지에 대규모 팹 6기와 발전소 3기, 150여곳 이상 소재·부품·장비·설계 기업이 입주하는 대형 국가 전략사업이다. 삼성전자가 용인시 100년치 예산에 버금가는 360조원을 투자하는 세계 최대의 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되는 것으로, 이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160만명의 고용과 400조원의 생산 유발 등 부가가치 창출로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최고 중심지가 될 전망이다.
이상일 시장은 “국가산단 조기 승인은 속도전이 생명인 반도체 산업의 발전과 관련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며 “앞으로 남은 과정도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해 관계기관들의 긴밀한 협력체계가 계속 잘 가동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