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실내 동물원’ 문제 고발... 이상행동 동물들 구제 SOS 김동연 지사 “전원시키겠다” 부천시에 관리 넘기고 손떼 1년 되도록 열악한 환경 방치
지난 1월 부천의 한 실내 동물원에서 정형행동(스트레스로 인한 반복적 행동)을 보이는 동물들을 구제해 달라는 경기도민의 청원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직접 답변하며 문제 해결을 약속했다.
당시 김 지사는 동물들의 환경 개선과 전원(이전) 조치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지만, 11개월여가 지난 현재 곰과 호랑이 등 동물들은 여전히 열악한 환경 속에 방치된 상태다.
22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5월 관련 조례가 개정됨에 따라 동물원 관리 업무는 경기도에서 부천시로 이관됐다. 김 지사가 직접 동물들의 전원과 관리를 약속했지만 사실상 도가 손을 뗀 셈이 됐다.
이에 5월부터 부천시가 동물원 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전원에는 시간이 걸린다는 입장이다. 부천시 관계자는 “적합한 동물원을 찾아도 해당 동물원과 협의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해당 동물원 동물들의 처우도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앞서 도는 동물 전원에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사육장 특수선팅 설치, 동물행동 풍부화(환경 자극 제공), 정기검진 강화 등을 약속했다. 그러나 특수선팅은 호랑이와 곰의 사육장 두 곳에만 설치됐고, 나머지 동물들에 대한 조치는 이뤄지지 않았다. 또 주 2회 이상 진행을 약속한 동물행동 풍부화 역시 호랑이와 곰에만 국한됐으며, 나머지 동물들에 대해서는 동물원이 자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청원 내용에 호랑이와 곰 등 대형 동물만 적혀있다는 게 이유다.
하지만 도는 경기일보의 취재가 시작되기 전까지 이러한 내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결국 김 지사가 직접 동물들의 전원과 점검, 관리에 힘쓰겠다고 약속했음에도 도는 관리 주체가 부천시로 넘어갔다는 이유로 관리에 소홀, 도민과의 약속을 저버렸다는 지적이다.
이형주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대표는 “동물원, 수족관은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는 시설이 아닌 상업시설이다. 상업성 용도로 야생동물을 가두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며 “경기도 등 지자체에서 적어도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최소한의 돌봄과 관리가 이뤄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큰 틀로는 실내 동물원에 대한 허가를 함부로 내주지 않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사육 환경시설 관련해 진행 상황이 어떻게 되고 있는지 파악하도록 하겠다”며 “앞으로 부천시와 더욱 긴밀히 소통하며 동물들의 전원과 관리가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