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교산, 3천660가구 추가 공급... 60㎡이하 소형 평형 확대

하남 덕풍동에서 바라본 하남 교산 지구 일대의 모습. 연합뉴스
하남 덕풍동에서 바라본 하남 교산 지구 일대의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3기 신도시 하남교산에 소형평형을 중심으로 3천360가구를 추가 공급한다.

 

국토교통부는 ‘하남교산 공공주택지구 지구계획 변경안(3차)’ 승인을 고시했다고 22일 밝혔다.

 

변경안에는 하남교산지구 총 631만㎡ 중 주택용지 비중을 기존 23.3%에서 25.3%로 늘리는 내용이 담겼다.

 

주택용지가 늘어난 만큼 다른 용지들의 비중이 줄어들었다.

 

업무시설(1만㎡)과 문화산업(3만6천㎡) 용지는 아예 없앴고 자족시설 용지 비중은 10.8%에서 9.0%로 줄였다. 공공녹지 비중은 35%에서 34%로 축소했다.

 

이에 따라 하남교산에 들어서는 주택은 기존 3만3천37가구에서 3만6천697가구로 3천660가구 늘어났다.

 

단독주택 666가구, 공동주택(아파트) 2만8천383가구, 주상복합 등 복합시설 7천648가구가 공급된다.

 

주택 수 증가로 하남교산 전체 인구는 7만7천925명에서 8만7천258명으로 증가한다.

 

주택 면적별 비중도 조정했는데 중소형 주택은 줄이고, 소형은 늘린다.

 

전용면적 60㎡ 이하인 공동주택·복합시설주택 비중은 51.9%에서 59.3%로 대폭 늘었다.

 

동시에 전용면적 60㎡ 초과∼85㎡ 이하 비중이 35.0%에서 29.5%로 조정됐다.

 

85㎡ 초과도 13.1%에서 11.2%로 줄었다.

 

이 같은 소형 아파트 확대는 다른 3기 신도시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앞서 국토부는 고양창릉의 주택공급 물량을 2천485가구 확대하면서 60㎡ 이하 소형주택 비중을 53%에서 61.1%로 늘렸다.

 

남양주왕숙에서는 주택 공급 물량은 8천14가구 늘리고 역시 60㎡ 이하 주택 비중을 51.9%에서 53.2%로 확대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가족 구성원이 감소하는 추세인 데다, 정책적으로 신혼부부와 청년층을 위한 주택 공급을 늘리고 있는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