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사회적경제조직 시장규모 약 4조8천억원…판로 정책 전환점 마련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 내 사회적경제조직의 시장 규모가 약 4조8천억원에 달하지만 부족한 자본력과 낮은 인지도 등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인 것으로 분석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은 19일 ‘경기도 사회적경제 시장 분석 및 판로 확대방안 연구’결과를 발표해 이같이 밝혔다.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전수조사를 통해 민간시장 규모를 추정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공공시장 위주로 이루어져 온 사회적경제 판로 정책의 한계를 넘어 민간시장 진출을 제안하기 위해 진행됐다.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은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6천109개를 대상으로 ▲주요 상품 ▲매출 및 판로 비중 ▲판로개척 시 애로사항 등에 대해 전수 조사했다.

 

조사 결과 현재 운영 중인 것으로 확인된 사회적경제조직 4천346곳의 시장 규모는 4조8천억원에 육박했다. 이 가운데 민간영역은 2조9천958억원으로 공공영역 1조7천928억원보다 1조2천30억원(67.1%) 많았다.

 

사회적경제조직의 주요 강점은 제품의 우수한 품질(27.9%)과 사회적경제에 대한 신뢰(12.5%)로 나타났다.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는 자본력 부족(14.6%)과 낮은 대중적 인지도(11.2%)로 나타났다.

 

특히 연 매출 1억원 미만의 소규모 조직은 인지도 부족(16.4%)을, 대규모 조직은 규제(12.7%)와 생산역량 부족(7.3%)을 꼽았다.

 

이에 따라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은 민간 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상품 기획 및 마케팅을 강화하고 대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시장 확대를 지원하는 전략 등을 제시했다. 또 조직의 업력‧규모‧업종‧소재지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