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살림’보다… ‘정부 살림’ 챙기기 바쁜 김동연 지사

도의회 파행에 내년 예산안 처리 불투명한데
기자회견·방송서 연일 정부에 슈퍼추경 주장
계엄 사태 후 도정 소홀… 부적절한 처신 지적
道 “의회 파행은 여야 충돌 탓… 도 책임 아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9일 오전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경제재건 제안을 위한 기자회견'에서 관련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홍기웅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9일 오전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경제재건 제안을 위한 기자회견'에서 관련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홍기웅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거듭되는 도의회 파행 사태에도 연일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등 중앙정부를 향한 목소리만 내고 있다. 내년 도민의 민생을 책임질 38조원대 예산안 처리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김 지사가 내놓는 중앙경제에 대한 우려들이 도정을 외면한 부적절한 처신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당초 2024년 도 추가경정예산안 및 2025년 본예산안을 의결하기로 했던 제379회 정례회 제7차 본회의가 이날 반쪽으로 열렸다. 양당이 예산안에 대한 합의를 끝내지 못하면서 아무런 의결도 하지 못한 채 끝났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에도 김 지사는 이날 오전 기자회견과 오후 방송출연 등을 통해 중앙경제 관련 발언을 이어갔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도청 브리핑룸에서 ‘경제 대반전, 새로운 길로 갑시다’라는 제목의 기자회견을 열고 30조원 이상의 슈퍼추경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0.5%포인트 낮추고, 금융중개지원대출을 10조원 더 확대해 40조원으로 늘려야 한다고 했다.

 

당장 도의 38조원대 본 예산안이 심사대에 오르지도 못하는 파행 사태를 겪는 상황 속에 도의 수장인 경기도지사가 중앙정부의 경제정책을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 형태로 제안했다.

 

이날 오후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에 출연해서도 김 지사는 “지금 저희가 예산 심의 중에 있는데 필요하다면 예산을 증액해서라도 이런 분(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에 대한 지원을 하는 일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언급한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중앙 경제에 대한 우려를 내놨다.

 

김 지사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태 이후부터는 사실상 SNS를 비롯, 모든 대외적 활동에서 도정이 아닌 중앙과 관련된 발언을 위주로 해 왔다.

 

그동안 김 지사가 도의회와 제대로 소통하지 않는다는 비판과 이로 인해 직원들의 고충이 커지고 있다는 볼멘 소리가 도 안팎에서 쏟아졌음에도 같은 현상이 반복하는 셈이다.

 

익명을 요구한 도의 한 공무원은 “당장 추경안도 처리가 안돼 기초단체들은 아우성인 상황인데, 지금 슈퍼추경이니 뭐니 하는 모습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상황이야 알겠지만, 우선은 도 살림에 대한 걱정이 먼저 나와야 하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선출직 공직자로서 정치지도자 중 한명인 도지사는 비상계엄 사태에 요동치는 경제 상황에 해법을 제시할 책무가 있다”며 “현재 도의회가 거듭해 파행하는 것은 여야의 의견 충돌 때문이지 도지사와 연관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그럼에도 김 지사는 시장, 군수, 실국장 등과 지속해서 정책회의를 하는 등 도정에 신경 쓰지 않았다는 건 잘못 알고 있는 것 같다”며 “예산을 편성해 도의회에 다 제출했고, 증액도 요구했다. 이게 진행이 안되는 건 도의 책임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