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직위 ‘오락가락’... 경기도 인사 ‘잡음 지속

김동연 지사, 공직사회 전문성 강화 야심찬 추진
미래성장산업국장 다시 일반직 발탁 의미 퇴색
비서실장은 일반직 선발서 개방직 전환 쓴소리
최근 평화협력국장·법무담당관 ‘개방형’ 검토

경기도청사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청사 전경. 경기도 제공

 

민선 8기 경기도가 개방형 직위(임기제 공무원) 지정 확대 기조를 유지하면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개방형 직위 지정과 해제가 반복되면서 전문성 강화라는 취지가 무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19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공직사회의 전문성을 강화한다는 취지로 주요 실·국 자리에 외부 인사를 영입하고 있다.

 

지난해 3월 홍보기획관과 기후환경에너지국장 등 5명의 개방직 인사를 단행한 바 있으며, 이후에도 AI국장·이민사회국장을 개방형으로 공모해 외부 전문가를 모집했다.

 

하지만 개방형 직위의 지정 해제가 반복되면서 전문가 영입이라는 취지에 의문점이 제기됐다.

 

지난달 개방형 직위였던 미래성장산업국장 자리에 교육에서 복귀한 일반직 국장을 발탁하면서 전문성을 위해 열어둔 자리의 의미가 퇴색됐다는 의견이 나왔다.

 

앞서 도지사 비서실장을 도청 내부 공모를 통해 뽑겠다며 일반직 공무원 중에서 비서실장을 선발했다가, 결국 개방직으로 전환하면서 쓴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경기도가 평화협력국장과 법무담당관을 개방형 직위로 전환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민선 8기 인사에 비판적인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간 내부에서는 개방형 직위가 늘어나면서 승진 기회에 제약을 받는 등 불만이 끊임없이 제기됐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17일 경기도 3개 공무원노동조합이 설문조사 및 직원 여론 등을 종합해 선정한 워스트공무원 가운데 한 명이 임기제인 것으로 드러나, 임기제 공무원에 대한 조정력과 리더십 부재 등 문제점도 거론되고 있다.

 

도 공무원 A씨는 “외부 전문가를 모셔 온다면서 개방형으로 모집해 놓고, 사실상 측근 인사 임용을 위한 통로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며 “개방직으로 뽑은 자리에 다시 일반직을 모집하는 것만 봐도 꼭 개방직으로 전환해야 했는지 의문이다”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도청 직원 B씨도 “개방형 직위가 늘어나면 승진 소요 연수가 길어지기 때문에 내부 공무원들은 달갑게 생각하지 않는다”며 “더욱이 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떨어져 직원들 사이에서도 좋지 않은 이야기가 들려오는 경우도 많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법률적 검토가 필요한 사업이나 전문성이 요구되는 사업이 많아지면서 외부 전문가를 영입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