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여파, 또 미뤄진 ‘경기도 금고’... ‘불만’ 쌓이는 은행

계엄 여파 도의회 예산위 일정 지연, 30일 선정
도의원 심의위 참석 불가… 의결 정족수 부족
道 “도의회 일정상 불가피… 다른 이유는 없어”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의 곳간을 책임지는 도 금고의 최종 선정일이 오는 30일로 또 미뤄졌다. 비상계엄의 여파로 경기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일정이 밀리면서 의결정족수를 채우기 어렵다는 우려에서다.

 

18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애초 도 금고의 최종 선정일은 19일이었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 후폭풍이 거세지면서 도의회 예결위의 예산 심의 일정마저 불확실해지자 도는 금고 선정일을 20일로 한 차례 연기한 데 이어 이날 30일로 재조정했다. ‘경기도 금고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조례’에 따라 도 금고 지정 심의위원회가 도 금고를 선정하기 위해선 재적위원 3분의 2에 해당하는 인원이 반드시 출석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 도 금고 지정 심의위원회는 총 9명으로 구성됐다. 김성중 도 행정1부지사가 위원장을 맡고 도의회 의원 2명, 도의회 추천 민간위원 2명, 3급 이상 도 공무원 2명, 도지사가 추천하는 민간위원 2명이 참여한다.

 

하지만 도의회 예결위 일정이 겹쳐 도의회 의원 2명이 심의위에 참석할 수 없는 상황인 데다 다른 위원 중 일부가 일정상의 이유로 불참하게 되면 의결 정족수를 충족할 수 없다. 도가 금고 최종 선정일을 30일로 연기한 이유다.

 

도 금고는 규모와 상징성 때문에 시중은행들까지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도 금고로 선정되면 연간 약 40조원에 달하는 도 예산을 관리하게 돼 막대한 자금 운용 혜택이 따른다. 금고별로 3개의 시중은행이 참여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상황에서 금고 선정이 미뤄지면서 일부에선 ‘특정 은행을 지정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도 보이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도 금고 선정일이 계속 밀리고 있어 은행들은 초조한 상태로 긴장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며 “도의회 일정 때문이라는 도의 해명이 있지만, 일정을 미룬 진짜 이유가 달리 있는 건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공정성과 투명성을 최우선으로 심의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도의회 일정상 불가피할 뿐 결코 다른 이유는 없다”며 “30일에 심의위원회가 도 금고를 선정하고 도지사의 결제를 받은 뒤 곧바로 최종 결과를 밝힐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