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공공기관 긴급간부회의 내란 단죄·경제 재건·새로운 나라 반드시 완수 세 가지 과제 강조 국회·정부에 주력산업 지원 제안 오늘 시·군과 공직기강 머리맞대
대통령 탄핵소추안 의결로 국정 혼란이 우려되는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연이어 긴급회의를 개최하면서 민생 안정화를 위해 나서고 있다.
경기도는 16일 오전 도청 율곡홀에서 김동연 지사를 비롯해 행정1·2부지사, 경제부지사와 소방재난본부장, 주요 실·국장과 산하 공공기관장, 자문위원 등 총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도-공공기관 민생 안정 긴급간부회의’를 개최했다. 이는 지난 12일 제 1차 경기 비상민생경제회의에 따른 후속조치에 대한 진행상황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다.
김 지사는 “탄핵은 끝이 아니라 시작. 지금 이 시점에서 차분한 마음으로 세 가지를 반드시 완수해야 한다”며 ‘내란 단죄’, ‘경제 재건’, ‘새로운 나라’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고 했다.
특히 경제 재건에 대해 김 지사는 ‘현장 중심, 신속한 대응, 과감한 대처’ 세 가지 원칙을 강조했다. 그는 “탄핵안 가결로 불확실성은 제거됐지만, 무너진 경제를 재건하고 민생을 살리는 데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며 “세 가지 원칙을 중심으로 얼어붙은 민생 현장을 회복하는 데 전력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도는 무너진 대외신인도를 바로잡고 외교 공백을 메우기 위해 주력한다. ‘트럼프 2.0’ 시대를 대비해 반도체, 자동차 등 주력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국회와 정부에 적극적으로 제안할 방침이다. 김 지사는 비상계엄 선포 직후 급변하는 대내외 여건이 내수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 않게 하려고 2천500여명의 해외 인사들에게 긴급 서한을 보냈다.
이와 함께 김 지사는 국회와 정부를 향해 “추경 편성을 위해 여·야·정이 힘을 모아달라”고 촉구했다. 경기도는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와 반대로 어려운 경제를 살리기 위한 방안으로 확대 재정을 내세워 왔다. 앞서 민주당이 감액 예산안을 단독 처리한 것에 대해, 김 지사는 아쉬움을 드러낸 바 있다.
경기도는 이날 민생경제를 살리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했다.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에서의 소비 진작을 위해 ‘경기 살리기 통 큰 세일’ 지원 예산을 확대하고, 1월 설을 맞아 지역화폐 인센티브 할인율도 6%에서 10%로 상향한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중소기업인을 위한 대출 원금 상환 유예 및 이차보전 등 정책금융 예산 증액도 추진한다.
이 밖에도 외국인 투자 기업과 수출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찾아가는 외투기업 현장간담회’를 추진한다. 또 탄핵 정국 혼란으로 역풍을 맞은 관광산업을 살리기 위해 도내 관광사업자 특별자금을 300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아울러 민생안정을 저해하는 공직자의 일탈행위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특별감찰을 실시한다. 주요 감찰 내용은 ▲각종 정치적 중립의무 위반 행위 ▲무사안일‧책임회피 등 소극행정 ▲청탁금지법에서 규정한 부정청탁 행위 등이다.
또 도는 17일에도 탄핵 정국을 헤쳐나가기 위해 ‘도-시·군 합동 긴급 민생 안정 대책 회의’를 열어 도·시군 차원의 대응책 마련에 나선다.
도 관계자는 “도-시·군 합동 긴급 민생 안정 대책 회의에서는 민생경제, 재난 안전, 안보, 겨울철 취약계층 지원, 공직 기강 등 5대 분야별 대책에 대해 시·군과 협조할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