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 방한 추진하다 보류…일본은 방문

국방부측 "이번에 한국 방문 계획은 없다"…외신에 "적절 시기 아니라고 판단"
NCG 연기 이어 美국방장관 방문도 불발…계엄사태 여파에 한미 안보 협의 차질

image
연합뉴스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이 조만간 일본을 방문한다고 미국 국방부가 5일(현지시간) 밝혔다. 

 

하지만 한국 방문은 이번 일정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최근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와 국방부 장관의 사임 등으로 인해 한미 간 안보 협의가 일시적으로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팻 라이더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스틴 장관이 7일 캘리포니아에서 열리는 레이건 국방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한 뒤 일본으로 이동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이번 방문은 오스틴 장관의 13번째 인도·태평양 방문으로, 역내 동맹과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평화, 안보, 번영에 대한 공동 비전을 진전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애초 오스틴 장관은 일본 방문에 이어 한국을 방문해 한미 국방장관 회담을 개최할 계획이었다고 알려졌으나, 한국 일정은 포함되지 않았다. 익명을 요구한 미국 정부 관계자는 로이터통신에 "오스틴 장관이 가까운 시기에 한국 방문을 고려했지만, 현재는 적절한 시기가 아니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3일 한국에서 선포된 비상계엄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김용현 국방부 장관의 사임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로 인해 한미 간 주요 협의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4∼5일 워싱턴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제4차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와 제1차 NCG 도상연습(TTX)도 무기한 연기됐다.

 

라이더 대변인은 한국 계엄 사태와 관련해 주한미군의 태세 변화 여부를 묻는 질문에 "군 태세에는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여러 레벨에서 한국 국방부와 접촉하고 있으며, 이번 사태가 주한미군의 작전적, 물리적 안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주한미군 장병들의 외출 자유 여부에 대해서도 "내가 아는 한 그렇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