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설로 피해가 너무 큽니다.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2일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평택시 비닐하우스 전파 현장과 안성시 공장시설 파손 현장, 양계장 전파 현장 등 지난달 28일에 발생한 이례적인 폭설로 인한 피해현장에 방문했다.
첫 방문지인 평택시 진위면 하북리에는 약 22만6천㎡에 달하는 비닐하우스가 전파(全破)된 상태였다. 이곳 주민인 정병헌 송탄농협시설채소출하회장은 “이곳에서 재배하는 호박, 오이, 토마토 등이 결실을 맺기 전에 다 물 건너가 버렸다”며 “주민들은 살면서 처음 보는 눈 폭탄에 전혀 예상하지도 준비하지도 못했다. 전부 망연자실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다음 방문지인 안성시 보개면의 한 공장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이곳은 밤새 집중된 눈으로 6천153㎡에 달하는 공장동이 전부 붕괴된 상태였다. 이곳을 운영하는 김영환 ㈜에스피 대표이사는 “이런 일이 발생할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황당하다”며 “건물 피해만 50억원에 달하며 원료와 설비를 합하면 60억원 가까이 피해를 보고 있다. 언제 복구될지도 모르는 상황에 생산도 멈춰진 상황이라 암담하다”고 심정을 털어놨다.
마지막 행선지인 공장 인근 한 양계장도 15동 7천110㎡에 달하는 부분이 전파돼 김 지사에게 참담한 심정을 말하며 신속한 지원을 요구했다.
대설 피해지역 방문을 마친 김 지사는 피해자들에게 중앙정부에 특별재난구역 선포를 건의함과 동시에 빠른 시간 내 지원할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약속했다.
먼저 김 지사는 “현장을 와보니 (피해농민이) 보험 대상이 안 되는 문제라든지, 양계농장 같은 경우 그동안 들어간 비용과 사룟값은 농민이 다 부담해야 하는 문제라든지, 기존의 제도와 시스템으로는 해결이 안 되는 여러 가지 사각지대가 발견됐다”며 “사각지대는 특별한 방법으로 우선 해결하고, 제도적인 개선책도 함께 만들도록 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관련해 “도와 평택, 안성, 용인의 일부 지역이 함께 특별재난지역 신청을 할 것”이라며 “특별재난지역을 신청하면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심의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지난달 국회에 제출됐는데, 국회와 정부가 빠른 시간 내 처리해 주길 촉구한다”고 말했다.
또 지원 방안에 대해서는 “이미 재해기금으로 300억원 이상을 예비비로 썼다. 하지만 필요하다면 더 지출해서라도 빠른 시간 내에 복구하겠다”며 “재정은 이런 데 쓰라고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번 폭설은 기후변화, 기후위기에 기인한다”며 “도는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왔는데 (나아가) 중앙정부 그리고 대한민국이 기후위기에 보다 긴박한 생각을 갖고 아주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의 이번 대설 관련 현장방문은 지난달 28일 의왕시 도깨비시장과 같은 달 29일 안양시 농수산물도매시장에 이어 세 번째다.
앞서 김 지사는 도내 폭설이 내린 지난달 28일 긴급 대설대책회의(영상)를 열고 ‘눈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비닐하우스 같은 취약거주시설물 거주민에 대한 긴급대피 조치 ▲공사장 안전사고 예방 ▲신속하고 선제적인 제설작업 ▲경제활동에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 등에 대한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강구 등 네 가지를 지시한 바 있다. 그러면서 ‘지금 이럴 때가 돈을 쓸 때’라면서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달 29일 제설작업과 응급복구 및 피해를 입은 이재민지원, 소상공인 금융지원을 위해 301억5천만원의 재정지원을 신속하고 선제적으로 결정했다. 김 지사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도민의 삶을 챙기기 위해 진두지휘에 나서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