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우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 "지방의회 교섭단체도 정책연구위원 필요"…건의안 제출

양우식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장(왼쪽에서 세번째)이 최근 충북 청주에서 열린 대한민국 시도의회의회운영위원장 협의회에 참석해 ‘지방의회 교섭단체 전문성 강화 법률 개정 촉구 건의안’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경기도의회 제공
양우식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장(왼쪽에서 세번째)이 최근 충북 청주에서 열린 대한민국 시도의회의회운영위원장 협의회에 참석해 ‘지방의회 교섭단체 전문성 강화 법률 개정 촉구 건의안’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경기도의회 제공

 

양우식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장(국민의힘·비례)이 지방의회 교섭단체의 전문성 및 조직 강화를 위해 ‘별정직 정책연구위원’ 배치를 건의했다.

 

이 같은 양 위원장의 건의안은 최근 대한민국 시도의회 의회운영위원장협의회(이하 의회운영위원장협의회) 건의안으로 채택됐고 곧 대한민국 시도의회의장협의회 안건 상정을 거쳐 국회와 정부에 건의될 예정이다.

 

1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양 위원장은 최근 충북 청주에서 열린 대한민국 시도의회 의회운영위원장협의회 제11대 전반기 제4차 정기회의에 참석, ‘지방의회 교섭단체 전문성 강화 법률 개정 촉구 건의안’을 제출했다. 의회운영위원장협의회는 이 같은 건의안을 비롯해 10건의 안건을 심사한 끝에 양 위원장이 제출한 건의안을 채택했다.

 

건의안에는 최근 지방자치법 개정 이후 지방분권 및 지방의회의 권한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만큼 지방의회 교섭단체에도 전문성 및 조직 강화를 위한 별정직 정책연구위원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담았다.

 

현재 국회는 교섭단체 소속 의원의 입법 활동 보좌를 위해 교섭단체에 별도의 정책연구위원을 두고 있지만 지방의회의 경우 그렇지 않아서다.

 

앞서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지방의회에 교섭단체를 둘 수 있게 되면서 교섭단체에도 정책연구위원을 배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그러나 행정안전부가 공무원은 정치적 중립 의무가 있고 교섭단체에 유급 보좌관을 둘 근거가 없다며 교섭단체 직원 배치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무산됐다.

 

이에 양 위원장은 “국회 교섭단체와 같이 지방의회 교섭단체에도 의정활동 및 입법 활동 지원을 위해 별정직 전문인력이 꼭 필요하다”며 “지방의회에 교섭단체의 전문성 강화와 소속 의원의 입법 활동을 원활히 보좌할 별정직 정책연구위원을 둘 수 있도록 제도 개선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