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불행 그림자… 경기도, 5조 투입 ‘도민 행복↑’

행복수준 실태조사 결과 ‘하락세’
10년 전 62.9점→지난해 60.8점
소득 800만원 이상은 오히려 상승
경제영역 1조8천억·건강 2천900억
주거·교통 2조6천억·교육 5천억 등
2028년까지 89개 정책사업 추진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민의 행복수준이 10년 전과 비교해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기도는 약 5조원 규모의 대대적인 행복 증진 계획을 추진, 이를 통해 도민의 행복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1일 경기연구원의 ‘2023년 경기도민 행복수준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민의 행복수준은 10년 전 62.90점에서 지난해 60.8점으로 하락했다. 반면 소득이 800만원 이상인 경우 65.4점에서 67.7점으로 상승해 소득과 행복 간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부분에서 도는 5.46점으로 전국(6.5점)에 비해 낮았으며, 긍정적 정서(행복수준) 부분도 5.79점으로 전국(6.7점) 평균에 못 미쳤다.

 

이처럼 도민의 행복수준이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도는 지난 2021년 ‘경기도민 행복 증진 조례’를 제정했으며, 경기연구원은 도민들이 느끼는 행복에 대한 지표를 만들어 지원이 필요한 영역을 설정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2024~2028 경기도 행복 증진 기본계획’은 ‘기회가 넘치는 행복한 경기도’를 비전으로, ‘더 나은 행복’, ‘더 고른 행복’, ‘더 많은 행복’을 목표로 한다. 도는 도민의 행복 증진을 위한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시행해야 한다.

 

이번 기본계획은 5개 전략, 8개 영역, 89개 정책사업(약 5조원)으로 구성했다. 세부적으로 ▲경제영역(8개 사업, 1조8천억원) ▲건강영역(12개 사업, 2천900억원) ▲주거 및 교통영역(15개 사업, 2조6천억원) ▲환경 및 안전영역(11개 사업, 2천200억원) ▲교육영역(8개 사업, 5천억원) ▲고용영역(410억원) ▲문화 및 여가영역(9개 사업, 340억원) ▲가족공동체 및 사회 참여영역(9개 사업, 780억원) 등이다.

 

이 계획은 민선 8기 김동연 지사의 주요 역점 사업인 기회소득, The 경기패스 등을 비롯해 지역화폐 발행 지원과 같은 주요 사업과 연계해 추진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손준혁 도 소통협치관은 “도민이 느끼는 행복에 대한 것들을 담은 경기도형 행복지표를 개발해 꾸준히 실태조사를 하고 정책으로 반영하겠다”며 “도민들이 경기도에 살면서 더 나은 삶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