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iH, 2029년 완공 목표했지만, 4년 뒤에나 시작… 사업 지지부진 자칫 2033년까지 지체 가능성도 “정확 진단·실질적 해결안 내놔야”
2029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인천 경인국철(1호선) 동인천역 일대 도시개발 프로젝트(경기일보 6일자 3면)가 보상·철거 등의 준비 부족으로 4년 뒤에나 시작할 전망이다. 지역 안팎에선 ‘장밋빛 청사진’이란 지적과 함께 현재 상황을 정확히 진단하고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6일 인천시와 인천도시공사(iH) 등에 따르면 오는 2029년까지 중구 인현동 및 동구 송현동 일대 9만3천483㎡(2만8천328평)를 주거, 업무, 상업 기능을 결합한 복합지구로 재탄생시키는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북광장쪽 송현자유시장 부지엔 업무·상업복합시설을, 중앙시장 일대에는 상업시설과 주상복합시설을 조성한다. 동인천역 남광장쪽은 현 민자역사를 복합역사로 바꿔 답동사거리까지 지하상가를 중심으로 한 상권을 잇는다.
그러나 이 같은 도시개발계획이 빨라야 오는 2028년에나 시작이 가능해 ‘장밋빛 청사진’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이 도시개발사업의 핵심인 동인천역 개발은 민자 역사의 하부 지하상가 점포 200여개의 사용기간이 오는 2028년 5월까지 연장, 곧바로 시작해도 4년 뒤에나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지하상가 운영을 하면서 당장 상부 역사 철거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약 다시 1차례 사용기간 연장이 이뤄지면 2033년으로 늦춰질 수도 있다.
여기에 영업이 끝난 옛 인천백화점의 보상 및 철거 등도 쉽지 않다. 집합건물인 탓에 소유주만 수백명이 넘으면서 보상 등은 지지부진, 일대 개발은 지난 20여년 가까이 이뤄지지 못하고 장기 방치 중이다. 여기에 국가철도공단이 지난해부터 유치권 관련 소송을 이어가고 있어 사업 장기화는 불가피하다.
특히 현재 북광장 바로 옆 소위 양키시장으로 불리는 송현자유시장에 대한 보상 절차는 멈춰 있다. 지난 2007년 재정비촉진지구 지정에 따른 사업과 2020년 도시재생활성화 사업과 관련해 보상 문제가 번번히 발목을 잡았기 때문이다. 아직 일대 건물 약 436동에 대한 물건조사를 비롯한 감정평가 등 어떠한 절차도 이뤄지지 않는 등 진척이 없다. 앞서 시는 지난해 1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보상비 365억원을 반영했지만, 여전히 답보 상태다.
이런데도 시와 iH는 문제 해결보다는, 우선 도시개발사업 지구 지정에 이어 오는 2026년 상반기 착공하겠다는 계획만 내놓고 있다.
석정규 인천시의원(더불어민주당·계양3)은 “여러 보상 절차 및 개발에 필요한 재원 확보 등의 준비도 없어 너무 성급하게 개발 계획만 발표했다”며 “이 상태면 목표대로 남·북 통합 개발이 과연 제대로 이뤄질지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개발이 순조롭다는 거짓 장밋빛 청사진으로 시민들을 기만하지 말고, 현실적인 해결 방법을 내놔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민자역사의 소유주인 국가철도공단 및 민간사업자 등과의 협의를 통해 인천백화점의 소유 관계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상반기까지는 송현자유시장 물건 조사를 끝내고 보상 계획을 마련해 하반기부터 본격 협의에 나설 예정”이라며 “실무협의체를 통해 개발 사업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