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이하 공사)가 역사·문화·생태 관광콘텐츠를 개발하고 권역별 생태관광거점을 조성하기 위한 활동을 잇따라 펼쳤다.
도와 공사는 지난 21일 도 북부 청사 평화토크홀에서 ‘경기도 역사문화생태 관광융합콘텐츠 개발’ 사업 성과보고회를, 22일에는 이천 산수유마을에서 ‘경기도 권역별 생태관광거점 조성’ 사업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역사문화생태 관광융합콘텐츠 개발’ 사업은 지난 2019년부터 추진돼 도내 31개 시·군의 역사문화생태 자원을 지역 대표 관광 콘텐츠로 육성하기 위한 사업이다. 올해는 김포시와 양평군의 관광 프로그램이 신규 콘텐츠로 선정, 각각 9천만원의 예산을 지원받았다. 기존 사업 중 추가 지원 대상으로는 고양특례시와 가평군이 선정돼 각각 6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김포시와 김포문화재단은 애기봉평화생태공원을 중심으로 한 ‘조강에코피크닉’이라는 북부 지역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했다. 양평군은 양수리전통시장상인회와 협력해 두물머리를 중심으로 한 트레킹 관광상품을 개발·운영했으며, 시장상인회와의 상생 방안으로 도시락 제작에 대한 컨설팅 및 교육도 진행했다.
추가 지원을 받은 가평군은 청춘역1979 일원에서 ‘레트로 청평, 보라’라는 피크닉 콘서트와 뮤직 시네마 콘텐츠 사업을 진행했으며, 고양시는 화전지역과 항공대학교의 협업을 통해 ‘우주정거장 화전 페스타’라는 교육관광 및 지역 특성을 반영한 사업을 추진했다.
22일에는 ‘2024 경기도 권역별 생태관광거점 조성’ 사업의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 사업은 도의 명품 생태자원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생태관광 거점 개발을 목표로 한다. 지난 2019년부터 2년 단위로 신규 거점을 선정해 현재까지 총 11곳에서 생태체험 콘텐츠 발굴, 컨설팅, 주민역량 강화 교육 등이 진행됐다.
2019~2022년에 걸쳐 조성된 1~2기 거점으로는 이천 산수유마을, 파주 질오목마을, 가평 아침고요푸른마을, 화성 우음도, 평택 바람새마을, 고양 장항습지, 포천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가평 연인산마을, 연천 삼곶리마을 등 9곳이 있다. 지난해에는 3기 거점으로 김포 한강노을빛마을과 포천 산정리마을이 신규 선정됐다.
올해는 3기 거점별 밀착 컨설팅과 사업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 진행됐다.
공사 관계자는 “두 사업은 도내 시·군이 보유한 관광 자원을 새롭게 발굴해 도를 대표하는 관광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게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사업”이라며 “도와 공사에서도 선정된 지역들이 더 발전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