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빈 배송창고...헛돈 쓴 ‘디지털 전통시장’ 사업

중기부, 온라인 판로확대 예산 지원 사업
2년에 불과… 본궤도 오르기전 실탄 부족
경기지역 참여 시장 12곳 중 8곳 사업 종료
야심차게 만든 ‘공동 배송창고’ 운영비 허덕

24일 오전 ‘디지털 전통시장’에 선정된 한 전통시장에서 동네시장 장보기 도입을 알리고 있다. 안형철기자
24일 오전 ‘디지털 전통시장’에 선정된 한 전통시장에서 동네시장 장보기 도입을 알리고 있다. 안형철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디지털 전통시장’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전통시장에 조성한 ‘배송창고’가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배송창고가 필요한 배송플랫폼 사업이 짧은 사업기간으로 전통시장에서 정착하지 못했고, 후속 지원도 전무해 관련 사업이 사실상 방치되거나 철수한 탓이다.

 

25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디지털 전통시장’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전통시장의 온라인 판로확대를 위해 각 전통시장에 2년 동안 총 4억원의 예산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디지털 전통시장’의 대표적인 사업은 ‘장보기 온라인 플랫폼’ 입점 사업으로, 대부분의 전통시장이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경기도 내에서는 12곳의 시장이 ‘디지털 전통시장’ 사업에 참여했고 4곳은 사업 진행 중, 8곳은 사업이 종료됐다.

 

‘장보기 온라인 플랫폼’은 소비자가 전통시장 내 여러 점포의 상품을 주문하면 일괄배송하는 시스템으로 이를 위한 각 시장의 공동 배송창고가 필요하다. 문제는 장보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매출이 거의 발생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수원정자시장에서 떡집을 13년째 운영 중인 한 상인은 “장보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매출은 1% 수준”이라며 “기존 배달플랫폼 등에 비해 높은 판매수수료와 배달가격, 느린 배송시간, 불편한 CS시스템 등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장보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매출은 거의 없다”고 토로했다.

 

디지털 전통시장 사업으로 조성했지만 텅 빈 냉동창고, 사업을 사실상 포기하면서 냉동창고의 전원을 꺼놓은 상태다. 안형철기자
디지털 전통시장 사업으로 조성했지만 텅 빈 냉동창고, 사업을 사실상 포기하면서 냉동창고의 전원을 꺼놓은 상태다. 안형철기자

 

전통시장 상인들은 디지털 전통시장 사업의 수익성이나 시장별 적합성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사업지원 기간인 2년은 사업이 제대로 자리 잡기에는 턱없이 부족해 인력지원 등이 끊어지면 사업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는 게 시장 상인들의 입장이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자 최대 5천만원 가량을 투입해 조성한 배송창고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사업이 종료되고 지원금이 끊기면서 배송창고 운영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고 유지한다고 해도 상품 수거인원 등 인건비와 임대료 등의 비용이 각 시장의 몫으로 돌아오면서 골머리를 썩이고 있다.

 

지난해 사업이 종료된 수원못골시장의 경우 “투입된 비용도 있어서 일단 유지는 하고 있지만 현재 사실상 적자 운영”이라면서 “적자운영도 문제지만 지원금 등이 투입된 것에 비하면 상인들의 매출 증대 효과 등은 거의 없다”고 한 숨을 내쉬었다.

 

이에 대해 사업을 관리하고 있는 경기중기청 관계자는 “현재 사업에 대해 중간 점검이 진행 중”이라며 “지적 된 사안에 대해서는 확인한 뒤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