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0.25%p 추가 인하…한미 금리차 1.50%p로

콜린 파월 미국 연준 의장. AP=연합뉴스
콜린 파월 미국 연준 의장. AP=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개월여만에 또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연준은 7일(현지시간) 이틀간 진행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끝내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75∼5.0%에서 4.50∼4.75%로 0.25%포인트(p)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연준은 지난 9월 FOMC 회의를 통해 4년 반 만에 기준금리를 0.5%p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했었다.

 

연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최근 지표들은 경제 활동이 계속 견고한 속도로 확장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따”면서 "올해 초부터 노동시장 상황이 전반적으로 안화됐고 실업률은 상승했지만,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인플레이션은 FOMC의 2% 목표를 향해 진전했지만,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 중”이라며 "FOMC는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위한 리스크가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경제 전망은 불확실하며, FOMC는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양대 책무(dual mandate)의 양쪽 측면에 대한 위험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준의 이번 금리 인하 결정으로 한국(3.25%)과 미국의 금리 격차는 1.50%p로 다시 줄었다.

 

한미 금리차는 지난 9월 18일 연준의 빅컷 이후 1.50%포인트였으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달 11일 기준금리를 3.25%로 0.25%p 낮추면서 다시 1.75%p로 바뀌었다.

 

한편, 연합뉴스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트럼프 당선인이 사퇴를 요구할 경우 그만둘 것이냐는 기자 질의에 "안 하겠다"라고 짧게 답변했다.

 

이어 미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포함한 연준 이사진을 해임하거나 강등시킬 법적 권한이 있느냐는 질의에는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파월 의장 정책성과에 비판적인 게 연준의 독립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가 없느냐는 질의에는 "오늘은 정치적인 문제는 언급하지 않겠다"라고 답변을 피했다. 

 

이번 미 대선 결과 때문에 연준의 통화정책이 단기적으로 급변할 가능성도 부인했다.그는 "단기적으로 볼 때 선거가 우리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경제에는 많은 요인이 영향을 미치며 경제전망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단기를 넘어 경제를 전망하는 게 매우 어렵다고 말할 것"이라며 "현시점에서 우리는 향후 정책 변화의 시기와 내용에 대해 알지 못하고 따라서 경제에 대한 영향도 알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 정책들이 고용 극대화와 물가 안정이라는 우리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느 정도 중요한지 알지 못한다"라며 "우리는 추측하지도, 예측하지도, 가정하지도 않는다"라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