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위기가구가 살고 있는 3천890개의 건물, 총 2만7천297가구에 상세주소를 부여해 복지 사각지대 보완에 나섰다.
6일 도에 따르면 상세주소란 건물번호 뒤에 표시되는 ‘동·층·호’ 정보를 말한다. 건축물대장에 동·층·호가 등록되지 않는 원룸 등 다가구주택의 경우 상세주소를 공법관계의 주소로 사용할 수 없어 우편물의 분실·반송 등의 불편사항이 발생한다. 더욱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위치파악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도는 전국 최초로 지난 2월부터 복지 지원대상자와 화재 등에 취약한 쪽방촌 등을 대상으로 위기가구 상세주소 부여 사업을 추진했다.
복지 부서와 협업해 시군별 대상자를 선정하고, 대상자가 거주하는 건물 전체를 대상으로 상세주소를 부여했다. 현장 조사 뒤 적정한 동·층·호 표기 부여와 상세주소 안내판 부착으로 위치 파악이 쉽도록 조치했다.
임준범 도 주소정보팀장은 “위기가구에 상세주소 부여함으로써 사회적 안전망이 더욱 강화됐다”며 “주소가 도민의 안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만큼 더 촘촘한 상세주소부여로 복지 사각지대 예방을 위해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