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 확대 최종 보고회 개최

민간 체육 전문가·도내 체육기관과 ‘기회소득 확대방안 수립’ 방안 마련

경기도청 전경.경기도 제공
경기도청 전경.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체육인 기회소득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전문가, 시·군과 함께 사업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도는 4일 경기도청에서 체육계 민간 전문가, 지역 체육단체 관계자와 ‘체육인 기회소득 확대방안 정책과제 수행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김상수 도 문화체육관광국장, 김양례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수석연구위원, 박진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이상은 대한체육회 생활체육부장, 허범행 도장애인체육회 경영본부장, 이상윤 도체육회 스포츠기회복지부장이 참석했다.

 

도는 지난 4월 체육인 기회소득 확대방안 정책과제 연구로 전문가 자문회의와 체육인 대상 설문조사(선수·지도자 등 1,732명)를 통해 해당 사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의 의미를 구체화하고 평가했다.

 

또 지난달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13개 시·군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정책과제 전문가의 자문 내용을 종합한 결과 체육인 기회소득 대상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기회소득 지급대상 확대방안으로는 ▲대회기준에 도(장애인)체육대회, 도생활체육대축전, 도장애인생활체육대회 포함 ▲은퇴선수의 경우 체육행정 종사자나 심판 등도 기회소득 지급대상에 포함 ▲공공 체육교실 종사 지도자의 경우 주 15시간 이상 재직 기준 삭제 등 의견이 개진됐다.

 

도는 올해 시범사업 시행결과와 개진된 의견을 검토해 내년도 시행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상수 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앞으로도 시·군, 체육인과 다양한 소통을 통해 의견을 수렴해 정책을 보완하고 발전시켜 나가겠다”며 “체육인 기회소득 정책을 통한 체육인의 사회적 가치 창출이 도민들에게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체육인 기회소득은 시범사업으로 도내 거주하는 19세 이상 중위소득 120% 이하의 현역선수, 지도자, 심판 등 도내 체육인에게 연 15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올해 13개 시·군에서 신청 접수를 받았으며 내년 26개 시·군이 참여를 확정했다.

 

도는 정책과제 수행 최종 결과 등을 반영해 지급 기준을 최종 확정한 후 내년 사업 추가 확대를 계획 중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