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인천해양박물관, 11월 ‘이달의 해양유물’로 ‘표류인 문순득 일기’ 선정

‘표류인 문순득 일기(漂流人文順得日記)’. 국립인천해양박물관 제공
‘표류인 문순득 일기(漂流人文順得日記)’. 국립인천해양박물관 제공

 

국립인천해양박물관은 11월 ‘이달의 해양유물’로 ‘표류인 문순득 일기(漂流人文順得日記)’를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문순득은 조선 후기 섬과 육지를 오가며 물품을 팔던 우이도 출신의 상인이다. 지난 1801년 12월 홍어를 사러 배를 타고 흑산도에 갔다가 풍랑을 만나 지금의 일본 오키나와인 류큐에 표류했다. 그는 당시 표류인 송환 제도에 따라 조선으로 귀환하기 위해 중국으로 가던 중 다시 필리핀에 표류했다. 이후 필리핀에서 상선을 타고 마카오와 북경을 거쳐 약 3년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다.

 

‘표류인 문순득 일기’에는 문순득의 표류 과정을 비롯해 각 나라의 생활상, 문화, 선박 등의 다양한 내용과 그가 배운 류큐어, 필리핀어의 단어 표가 수록돼 있다. 이 책은 흑산도에 유배 중이던 정약전이 문순득의 구술을 토대로 정리한 표해시말(漂海始末)과 유사하다. 그동안 표해시말은 이강회가 유암총서(柳菴叢書)에 필사한 것만이 현존하는 유일한 기록으로 알려졌으나, 국립인천해양박물관의 소장본을 통해 또 다른 기록의 존재를 확인했다.

 

문순득의 이야기는 실학자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줬다. 그의 경험담을 바탕으로 정약용은 경세유표(經世遺表)에서 화폐제도의 개혁을 주장했고, 이강회는 유럽과 조선의 선박을 비교해 운곡선설(雲谷船説)을 저술했다.

 

동아시아를 넘어 서양 문화까지 접한 문순득은 상인의 시각으로 낯선 문물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폭넓게 관찰했다. 그의 특별한 경험은 바다 건너의 세계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던 당시 조선 사회에 경제·군사·문화 교류 등에 있어서 해양의 중요성을 일깨워 줬다.

 

우동식 국립인천해양박물관장은 “19세기에 바다를 통해 조선을 넘어선 세계의 문물을 경험한 표류인 문순득의 일기는 오는 12월 개관하는 국립인천해양박물관의 전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 여러분의 해양에 대한 많은 관심과 소중한 유물 기증을 기다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