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년 1월 우주로 향하는 기후위성 설계 착수

경기도 2025년 본예산안에 관련 비용 100억 반영 추진
민간업체 공모 지원 청사진... 2026년 발사 계획 본격 착수
도의회 설득 심의 통과 숙제

경기도청 전경. 경기일보DB
경기도청 전경. 경기일보DB

 

경기도가 기후위성 발사를 공언한 김동연 지사의 계획을 실현하고자 내년 1월부터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다.

 

내년도 본예산안 편성을 계기로 민간 업체에 대한 공모 사업을 진행한다는 복안인데, 빠르면 2026년 기후 분야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기도의 위성이 우주로 향할 예정이다.

 

28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내년도 본예산안에 기후위성 발사 비용 반영을 추진하고 있다. 도가 공모로 선정한 민간 업체에 대해 예산을 지원하는 형태로 발사체를 제외한 기후위성의 예산은 100억원 내외가 될 전망이다.

 

앞서 김 지사가 지난 7월 국회 토론회를 통해 재난 대비, 농업 축산업 분야와 도시 확장 및 개발 등에 필요한 기후 데이터를 확보하도록 기후위성 발사를 강조했기에 도는 내년도 본예산 편성 시 같은 해 1월 공모 절차에 돌입한다.

 

특히 민간 업체의 기후위성 기능, 발사체와 연계한 사업 추진 일정 등을 평가한 후 이르면 2026년 기후위성을 쏘아 올릴 계획이다. 온실가스 등 도내 관련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만큼 도는 사업 속도를 내고자 공모 일정을 내년 1월로 잡았다.

 

여기에 도는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앞다퉈 소형 위성 쏘아 올리기에 도전하고 있어 소형 위성에 대한 시장이 형성돼 민간 업체를 찾는 데에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례로 대전시는 지역 중소기업이 개발한 초소형 위성으로 업체의 잠재력을 점검하는 한편, 부산시는 해양 관측을 위한 초소형 위성을 내년도 발사할 계획이다. 더욱이 오는 2029년까지 한 해 평균 1천기의 소형 위성이 전 세계적으로 발사될 것으로 전망하는 조사(2020년 12월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소형위성 시장동향과 전략적 시사점’) 결과가 나오는 등 시장 잠재력은 갖췄다는 평가다.

 

다만 경기도의회 일부 의원들은 기후위성과 관련, 정부에서 추진 중인 사업과 중복 여부 등에 대해 탐탁지 않은 기류가 흐르는 만큼 내년도 본예산안의 통과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내년이 사실상 민선 8기의 성과를 볼 수 있는 마지막 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만큼 과다한 예산 책정에 따른 도의 신규 사업에 대한 현미경 점검이 전망된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도의회와 함께 사업을 진행해 나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의원들에게 보고하고 함께해 나갈 것”이라며 “발사 장소의 경우 민간 업체의 제안서에 따라 정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