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주 4.5일제’ 도입을 두고 시범사업평가위원회에서 적정 점수 기준을 넘겨 다음 달 연구용역을 진행, 내년 3월 시범사업에 돌입한다.
이는 내년도 본예산안 심의를 앞두고 연구용역이 완료되지 않은 시점에 경기도의회의 반대를 피할 수 없다는 문제(경기일보 9월26일자 5면)를 해소한 것이다.
27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는 주 4.5일제 도입을 안건으로 두고 시범사업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심의하기 위해 지난 22~23일 2일간 시범사업평가위원회를 개최, 심의 결과 89점으로 적정 평가를 받았다.
앞서 심의위원은 6명의 민간위원과 1명의 공무원으로 구성됐으며, 심사는 서면심의로 위원별 자료검토 및 심사를 진행했다.
심사 결과 심의위원들은 ▲업무 효율성 향상을 끌어낼 프로세스 체계 구축 필요 ▲노사 간 지속적 소통으로 근무체계에 대한 공감대 형성 필요 ▲연구용역을 통해 파악한 민간기업의 노동환경을 고려해 시범사업 도입 필요 ▲다양한 규모(대기업 및 중소기업), 다양한 분야의 기업 대상으로 사업 추진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결과에 따라 도는 시범사업의 필요성, 근무체계 공감대 형성 등의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다음 달 중 학술 용역을 시행, 주 4.5일제 추진에 밑그림을 그릴 예정이다. 또 내년 3월 용역 결과를 토대로 도내 다양한 기업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주 4.5일제 도입을 위해 위원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려 노력하겠지만 위원마다 생각이 조금씩 달라 모든 내용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며 “용역 내용에 따라 어떻게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합리적인지, 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등을 판단해 가장 적정한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경기도, 주 4.5일제 도입 ‘산 넘어 산’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40925580366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