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청덕동에 인천쪽 진입로 강릉쪽 진출로 길이 1.1㎞ 개설
영동고속도로 동백IC 건설사업이 국토교통부의 최종 허가를 받으면서 본궤도에 올랐다.
23일 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용인특례시 등에 따르면 동백IC 건설사업은 용인시 기흥구 청덕동 일원에 인천 방향 진입로와 강릉 방향 진출로 길이 1.1㎞ 구간을 개설하는 프로젝트다.
총사업비는 1천137억원으로 추산되며, 용인시와 언남공공주택지구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협상을 통해 각각 70.5%, 29.5% 분담하기로 했다.
영동고속도로 신갈JCT와 마성IC 사이에 들어설 동백IC는 그간 지역 주민들의 고속도로 접근성 개선을 위해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동백 일대 주민들은 2006년부터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시민단체를 통한 민원 제기 및 의견 전달 등 다방면에 걸쳐 조속한 추진을 요구했다.
고속도로 나들목 연결 허가는 지자체가 한국도로공사(도공)에 신청하면 도공이 검토한 뒤 국토부에 의견을 전달하고, 국토부가 최종 승인하는 구조로 진행된다.
당초 한국도로공사는 동백IC 도입을 두고 신갈JC, 마성IC와 너무 가까워서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이후 시는 2019년 동백 주민들과 시 공무원들로 구성된 민관협의체의 공식 제안에 따라 자체 타당성 평가 용역을 진행해 온 끝에 사업성이 있다는 결론에 이르자 도공과 국토부 등에 각각 적정성 검증 용역을 신청했다.
용역을 통해 산출된 비용 대 편익(B/C)은 도공과 국토부가 각각 1.02와 1.04 등으로, 통상 B/C가 1을 넘으면 사업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본다.
이에 시가 지난해 10월 도공에 도로연결허가를 신청했다. 이후 도공 측의 보완 요청에 따라, 시가 5월과 8월 노선 보완 사항을 담은 자료를 제출한 바 있다. 이를 받은 도공의 검토 및 의견 전달 이후 최종적으로 국토부 승인이 이뤄졌다.
해당 사업은 내년 중 도공 측의 설계 절차를 거친 뒤 2027년 착공, 2029년 개통이 목표다.
시 관계자는 “동백 일대 주민들의 숙원 사업이었던 만큼, 시민들이 영동고속도로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동백IC 설치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