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화지역 주민이 최근 북한의 대남 확성기 소음으로 수면장애 등 큰 고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인천시가 정부 지원에 앞서 주민들을 위한 우선 지원에 나선다.
14일 시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부터 북한의 대남 확성기 소음으로 강화군 송해면, 양사면, 교동면 등 3개 면에 사는 8천800여명 가운데 약 52%인 4천600여명이 소음 피해를 당하고 있다. 사이렌, 북·장구 소리 등 최대 전철 소음 정도의 기괴한 소음이 24시간 동안 송출과 멈춤을 반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피해 최소화를 위해 피해지역에 인천시 마음건강버스를 우선 투입해 주민들의 심리상담과 회복에 나선다. 강화군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는 불안, 스트레스 장애 등 정신건강 검사와 심층상담도 할 예정이다.
또 소음 피해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전문기관의 소음 피해 강도와 규모의 정확한 측정에도 나선다. 소음피해 측정은 인천보건환경연구원의 전문 장비를 활용해 전문가가 직접 24시간 북한 소음방송의 현장 데이터를 축적한다. 해병대와 강화군의 소음측정 결과를 교차 검증하고, 상시 소음 측정이 필요한 경우 자동 소음 측정망도 구축할 예정이다.
농가 가축들이 스트레스를 받아 사산하는 경우도 나온 만큼, 스트레스 완화제 지원, 방역 조치 등도 한다. 앞서 시는 이달 초 스트레스 완화제 15㎏를 우선 농가에 지원했다. 시는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추가 배부와 방역 홍보·지도를 이어갈 방침이다.
앞서 시는 정부에 북한의 소음방송 주민 피해 예방 및 최소화를 위한 중장기 대책과 주민소음피해 지원 근거 마련, 주민 우선 지원을 위한 재정 지원을 건의했다. 시는 정부와 협력해 신속하고 실질적인 주민 피해 파악 및 체계적 소음측정, 주민과의 소통으로 필요한 조치를 지속 확대하고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접경지역에 사는 것만으로도 ‘애국’이라고 여러차례 강조한 것처럼 시민의 행복과 안전한 삶을 보장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강화군과 서해 5도를 비롯한 접경지역 주민들의 피해 최소화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