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혁신모펀드' 2028년까지 1조 확대… 공공주도 해상풍력 추진

인천시 미래산업국 간담회 진행

유제범 시 미래산업국장이 10일 인천시청에서 열린 미래산업국 기자 간담회에서 인천혁신모펀드와 공공주도 해상풍력 사업을 설명하고 있다. 시 제공
유제범 시 미래산업국장이 10일 인천시청에서 열린 미래산업국 기자 간담회에서 인천혁신모펀드와 공공주도 해상풍력 사업을 설명하고 있다. 시 제공

 

인천시가 오는 2028년까지 1조원 규모의 인천혁신모펀드를 조성하고 2026년까지 인천·배타적경제수역(EEZ) 등 3곳에 공공주도 해상풍력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유제범 시 미래산업국장은 10일 인천시청에서 열린 미래산업국 기자 간담회를 통해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시는 자치단체 최초로 조성한 인천혁신모펀드의 출자 범위를 확대해 글로벌 도시 도약의 기반을 다진다. 이를 위해 시는 인천혁신모펀드의 출자 범위를 종전 경제인단체, 대학, 국내 기업에서 외국인투자기업과 국외 기업까지 확대한 ‘글로벌 톱텐 모펀드’를 조성한다. 오는 2028년까지 1조원 규모로 펀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자체 예산 500억원, 국내·외 기업 500억원 등 1천억원을 종잣돈으로 삼아 1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해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 집중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또 인천·EEZ 등 3곳에 공공주도 해상풍력 개발사업도 추진한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8월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개발 지원사업에 3곳을 선정했다. 시는 오는 2026년 말까지 인·허가 저촉 여부 조사 및 지역수용성 조사·확보, 발전단지 설계·기본계획 수립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난 2022년부터 공공주도 해상풍력 적합입지 발굴조사를 했다. 인천·배타적경제수역 안 해상풍력 입지 발굴을 위한 풍황자원, 해양환경 등을 조사한 결과 옹진해역 1곳, 배타적경제수역 2곳 등 3개 해역에서 3GW 규모의 입지를 발굴했다. 시는 국토부 지원 사업선정에 의해 국비 21억7천500만원을 학보했다. 시는 주민 수용성과 환경성을 사전에 확보하고, 지역사회와 개발이익을 공유한다는 방침이다.

 

유 국장은 “앞으로도 혁신적인 투자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잠재력이 많은 인천의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해상풍력 사업의 공공주도 방침에 따라 주민, 어업인, 지역, 사업자 등 이해관계자 간 최적의 상생 방안을 찾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