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대기질 개선 위한 미세먼지 저감 대책 필요" [경기도 정책토론대축제]

경기도 대기질 개선을 위한 미세먼지 저감방안을 주제로 '2024 경기도 정책토론대축제'가 8일 오후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정윤경 경기도의회 부의장, 김종배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위원 등 패널과 내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홍기웅기자
경기도 대기질 개선을 위한 미세먼지 저감방안을 주제로 '2024 경기도 정책토론대축제'가 8일 오후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정윤경 경기도의회 부의장, 김종배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위원 등 패널과 내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홍기웅기자

 

경기도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미세먼지를 줄이려면 중장기적인 대책을 수립하는 한편 지역별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지난 8일 오후 2시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2024 경기도정책토론대축제’의 하나로 ‘경기도 대기질 개선을 위한 미세먼지 저감방안’ 토론회를 했다고 9일 밝혔다.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소속 김종배 의원(시흥4)이 좌장을 맡은 이번 토론회에서는 조영민 경희대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교수가 주제발표를 맡아 도의 대기질의 현 상황을 진단했다.

 

이어 권형안 수원대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교수, 최기철 한국환경연구원 연구위원, 박희재 시흥시 녹색환경지원센터 실장, 이윤성 경기도 대기환경관리과장이 토론자로 나서 도의 미세먼지 저감 방안을 고민했다.

 

조 교수는 경기도가 대기오염에 취약한 원인에 대해 중소 사업장이 60% 이상 밀집해 있으면서 대규모 산업단지가 있다는 점을 꼽았다. 또 교통량이 많고, 서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리적 요인 등을 지목했다.

 

조 교수는 “경기도는 전국 비산먼지 사업장 관련 민원이 타 지자체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며 “도의 미세먼지 배출량을 보면 75.2%가 비산먼지였고 그중 42.1%는 건설공사에서, 33.4%는 도로재비산먼지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세우고, 권역별로 대기오염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신도시 개발 등 대규모 개발사업을 할 때는 집중 관리구역을 지정해 운영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권형안 교수는 “직접 배출되는 미세먼지 규제와 함께 이차적으로 생성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성분 분석을 통한 기여도 파악, 2050 탄소중립 계획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정책의 재정비도 필요하다”고 했다.

 

최기철 연구위원은 “미세먼지는 구성 성분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위해도가 다른 만큼 위해도가 큰 배출원을 우선으로 감축하는 것이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이 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탄소중립 이행 방안과 연계된 미세먼지 저감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박희재 실장은 “도농복합도시의 특성에 맞춰 행정기관의 지속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고, 이윤성 과장은 도 미세먼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산먼지와 관련해 “지속적인 컨설팅과 단속 강화를 통해 미세먼지를 저감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배 의원은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은 광역적인 문제로 도만의 정책과 노력으로 개선되기에는 한계가 있다”면서도 “미세먼지 주요 배출원인 탄소배출을 줄이려면 탄소중립 이행 방안과 연계된 실천 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도의회가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