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소비 위축…상반기 실질 소비수준, 20년만에 최저

image
기사와 직접 관련 없는 자료사진. 경기일보DB

 

고물가·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올해 상반기 내수 소비가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최근 소매 판매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액지수(불변지수 기준) 증가율은 작년 동기 대비 2.4% 줄었다. 해당 보고서는 통계청의 ‘서비스업 동향 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다.

 

소매판매액지수는 개인·소비용 상품을 파는 2천700개 기업의 판매액을 조사한 결과다. 이 중 불변지수는 물가 상승의 영향을 제거한 값으로, 경제 주체들의 실질적인 재화 소비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된다.

 

이 지수의 증가율이 음의 값이면 실질 소비의 양이 이전보다 줄었다는 뜻이다.

 

올해 상반기 불변지수 기준 소매판매액지수는 이른바 ‘카드 대란’으로 내수 소비가 크게 꺾였던 2003년(-2.4%)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 지수 증가율은 상반기 기준 2021년 5.5%에서 2022년 1.2%로 떨어진 데 이어 2023년 -0.8%, 올해 -2.4%로 3년 연속 떨어졌다.

 

경총은 이를 근거로 2020년께부터 국내 실질 소비는 계속 둔화한 것으로 해석하면서 최근 수년간 누적된 세계적인 물가 상승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물가 상승세를 반영한 경상 지수 기준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액지수도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0.3% 상승하는 데 그쳤다.

 

상반기 기준 전년 대비 소매판매액지수 증가율은 지난 2021년 8.1%, 2022년 7.1%로 7∼8%대를 유지했으나 물가 상승이 쌓이면서 지난해 2.2%로 준 데 이어 올해 더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소매판매액지수(경상) 증감률의 편차가 컸다.

 

난방기기, 전동 공구 등 기타 내구재(10.3%), 가구(8.7%), 의약품(5.1%), 음식료품(2.2%) 등은 작년 상반기 대비 증가했으나, 승용차(-8.1%), 오락·취미·경기 용품(-5.3%), 침구류, 주방용품 등 기타 준내구재(-3.6%) 등은 감소했다.

 

5년 전인 2019년과 비교한 누적 증가율은 담배, 신문, 화장지 등 기타 비내구재(45.2%), 의약품(42.4%), 승용차(31.4%) 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승용 경총 경제분석팀장은 “내수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우리 경제 회복을 제약하고 있어 우려스러운 상황이다”며 “내수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와 지원책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장기간 높은 수준에서 유지된 기준 금리의 인하 역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