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전국최초 사회복지시설 하위직 임금체계 개선

최근 열린 2024년 제2차 인천시 사회복지사처우개선위원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 하고 있다. 시 제공
최근 열린 2024년 제2차 인천시 사회복지사처우개선위원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 하고 있다. 시 제공

 

인천시가 사회복지시설 하위직 종사자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2025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계획’을 마련했다.

 

11일 시에 따르면 이번 계획을 통해 보건복지부 인건비 가이드라인 대비 하위직 종사자들의 인건비를 1% 인상했다. 또 복지점수 인상, 종사자의 국외연수 지원 등의 내용도 담았다.

 

시는 계획상의 20개 사업을 위해 예산 296억원을 들일 방침이다.

 

앞서 시는 지난 2020년 전국 최초로 인건비 기준이 없는 국비지원 사회복지시설에 호봉제를 도입하고 임금수준이 낮은 시설에 임금보전비를 지원했다. 이를 통해 시는 지난해 국·시비 지원시설 모두 보건복지부 인건비 가이드라인의 100%를 달성했다.

 

그러나 시는 사회복지사, 생활지도원, 관리직, 기능직 등의 하위직 실무 종사자(49.6%)는 여전히 임금수준이 낮다고 본다.

 

이를 위해 시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3개년(2024년~2026년) 연차별 계획을 수립했다. 시는 앞서 인천형 단일임금 체계 구축을 위해 ‘민·관 협의추진단(TF)을 구성하고 ‘사회복지 민·관 협치 워크숍’, ‘사회복지사처우개선위원회’, ‘하위직 종사자 임금체계 개선방안 연구’ 등을 했다.

 

또 시는 오는 2025년에는 종사자의 여가활동 및 자기계발을 위해 복지점수를 인상하고 국내 선진지 견학을 국외연수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시는 국비시설 호봉제 및 임금 보전비 지원, 정액 급식비, 관리자 수당, 우대 승진제, 특수지 근무수당, 대체인력 지원, 자녀돌봄유급휴가, 종합건강검진비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김학범 시 보건복지국장은 “전문성을 갖춘 우수한 종사자들이 자긍심을 가지고 일하는 것이 시민들의 복지서비스 만족도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복지 현장과 소통하며 종사자 처우개선에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