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역 복합개발 ‘시동’… 사업성 관건

복합역사 건설·노후 주거지 개발... 내년부터 사업계획 마련 본격화
市, 2032년까지 역사 재건축 구상... 민간사업자·투자 유치 방안 필수

인천 원도심 전경. 경기일보 DB
인천 원도심 전경. 경기일보DB

 

경인국철(경인선·1호선)의 기점인 인천역 일대가 복합역사 건설과 노후주거지 개발사업 등 2개의 핵심 축으로 개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다만 지역 안팎에선 일대 개발이 10여년 간 사업성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어온 만큼, 민간사업자의 참여를 독려할 사업구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인천시에 따르면 내년부터 인천역 복합개발사업 공간 재구조화계획 마련에 나선다. 시는 인천역 일대가 최근 국토교통부의 ‘도시혁신구역’으로 지정 받은 만큼, 이와 연계해 공간 개발 계획을 짤 예정이다. 도시혁신구역은 국내판 ‘화이트 존’으로 용도와 밀도에 대한 제약 없이 자유로운 개발이 가능한 구역이다. 이에 따라 시는 용역을 통해 마련한 구체적인 개발계획을 토대로 ‘공간 재구조화계획’을 마련해 내년 국토부의 중앙도시계획심의위원회를 거쳐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현재 시는 코레일·인천도시공사(iH)와 공동으로 오는 2032년까지 4천억원을 투입해 인천역을 복합역사로 다시 짓고 주변에 주상복합·문화시설·공원 등을 조성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시는 인천역 역사를 포함한 철도부지에 상업·업무·숙박기능을 결합한 복합역사를 마련하고, 인천역 맞은 편 노후주거지에 40~49층 상당의 주상복합 아파트 등 주거지 개발 등 2개 축을 기반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오는 2027년 보상·이주와 2028년 철거·착공에 나서 2032년까지 조성을 마무리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시는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인천역 사업 대상지 6만5천㎡(1만9천696평)을 포함해 총 78만5천㎡(23만7천878평)에 대한 공간재구조화계획을 마련한다. 시는 이곳이 제물포 르네상스 사업의 핵심 지역인데다 인천 내항 1·8부두 재개발을 견인, 상상플랫폼과 월미관광특구·차이나타운 등으로 연계할 수 있는 거점으로 보고 있다. 시는 주변의 주거시설과 경인국철 1호선 등 교통, 기반시설과의 조화와 미치는 영향 등도 분석한다.

 

다만, 이 같은 시의 인천역 복합개발사업이 성공하려면 사업성 확보가 반드시 필요한 과제로 꼽힌다. 인천역 주변은 차이나타운 등의 관광지가 있다보니 다른 원도심보다 훨씬 땅값이 비싸 사업성이 낮기 때문이다. 게다가 사업 대상지에는 각종 철도부지가 섞여 있는 탓에 매각 등이 불가능하고 단순 임대 등만 가능해 대규모 개발에도 한계가 있다.

 

앞서 시와 코레일은 지난 2016년 국토부의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 받은 뒤 역무시설·사무공간·오피스텔·호텔·상업시설을 갖춘 20층 규모 복합역사 개발을 추진했다. 하지만 이 같은 낮은 사업성 때문에 민간사업자를 찾지 못해 무산됐다.

 

이에 따라 시는 정부의 철도 지하화 및 상부공간 개발을 위한 특별법과 연계,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 등에 대한 검토에 나설 방침이다. 이를 통해 개발의 발목을 잡는 철도부지 및 지장물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최근 도시혁신구역 지정이 2016년 입지규제최소구역보다 더 용적률 등의 혜택이 크기 때문에 이번에는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이로 인해 민간 사업자의 투자유치를 이끌어내면 사업이 정상 궤도에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며 “iH와 코레일 등과 함께 세부적인 개발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