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나 혼자 산다’…1인 가구 171만 돌파

전국 1인 가구 21.9% 경기도에 집중
1인 가구 생활 기간 장기화 추세…3년 미만 줄고 5~10년 비중 확대

경기도 1인 가구 통계 인포그래픽. 경기도 제공
경기도 1인 가구 통계 인포그래픽. 경기도 제공

 

경기도내 3집 중 1집은 1인 가구로, 171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도가 4일 발표한 ‘2024 경기도 1인 가구 통계’에 따르면 도내 1인 가구는 전체 가구 가운데 31.2%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 매년 전국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이번 자료는 통계청에서 지난달 말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와 여성가족부의 가족실태조사, 경기도의 사회조사 등 총 6종의 다양한 통계를 바탕으로 1인 가구 현황을 ▲인구·가구 ▲주거 ▲여가 등 8개 분야로 재분류한 자료다.

 

경기도내 1인 가구 수는 전년(163만) 대비 약 8만 가구가 증가한 171만5천 가구로 집계됐으며, 이는 도 전체 가구(550만) 중 31.2%를 차지한다. 경기도의 1인 가구 수와 비중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국 1인 가구의 21.9%가 경기도내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 수는 2020년부터 서울시를 넘어서 매년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시·군별로는 수원(10.5%), 성남(7.6%), 고양(7.4%), 화성(7.0%), 용인(6.2%) 등 인구 상위 5개 시에 1인 가구가 집중돼 있었다. 시·군별 전체 가구 대비 1인 가구 비율은 연천(38.6%), 가평(38.5%), 동두천(37.1%)이 높았으며, 과천(18.0%), 의왕(24.0%), 남양주(25.1%)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1인 가구로 생활한 기간은 5~10년 미만이 30.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10~20년 미만이 26.4%, 3~5년 미만이 16.1%로 그 뒤를 이었다. 2020년과 비교해 5~10년 미만이 13.8%포인트 상승한 반면, 1년 미만과 1~3년 미만은 각각 6.7%포인트, 5.1%포인트 감소하며, 1인 가구 생활 기간이 장기화되는 추세가 확인됐다.

 

또 1인 가구가 겪는 어려움으로는 10가구 중 4가구가 ‘균형 잡힌 식사’(44.9%)와 ‘아프거나 위급할 때 혼자서 대처’(42.6%)를 꼽은 것으로 확인됐다.

 

1인 가구의 생활비 지출은 주거비(30.7%)와 식료품비(26.5%), 의료비(21.0%)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여가 분야를 살펴보면 1인 가구의 여가는 주로 TV 시청(57.2%)과 휴식 활동(37.9%)에 집중되고 있으며, 문화예술 관람(17.7%)과 관광 활동(8.9%) 등의 여가 활동 비중은 도 전체 가구 대비 각각 2.8%포인트, 5.8%포인트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 1인 가구 통계 자료는 경기도 1인 가구 포털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안승만 경기도 가족정책과장은 “이번 통계 자료 분석을 통해 경기도 1인 가구의 현황과 다양한 실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1인 가구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도내 1인 가구를 위해 ‘2024년 경기도 1인 가구 지원 시행계획’을 수립, 8천807억원을 투입해 1인 가구 병원 안심동행 사업, 1인 가구 자유주제 제안 사업, 1인 가구 주거 안전 체크리스트 개발·보급, 1인 가구 정책참여단 운영 등 39개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